정부는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을 지원해 온 북한 국적 개인 ‘심현섭’을 24일 미국과 동시에 독자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외교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심현섭’에 대한 제재 지정은 사이버 분야에서 한미가 동일한 대상을 동시에 제재하는 첫 사례로서,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을 실질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한미간 긴밀한 공조에 기반해 이루어진 조치”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심현섭은 이미 유엔 안보리 제재대상으로 지정된 조선광선은행 소속으로 “차명계정 생성, 자금세탁 등 불법 금융활동을 통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자금 조달에 관여”했다고 밝혔다.

“안보리 결의에 위반하여 해외에 불법 체류하면서 신분을 위장하여 활동하는 북한 IT 인력이 벌어들인 암호화폐를 포함한 수백만 불에 달하는 불법 자금을 세탁하고, 이들에게 금전적 지원을 제공하는 등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을 통한 수익 창출과 대량살상무기 자금 조달에 관여하였다”는 것.

최근 우리 정부는 해외체류 북한 노동자들의 송환과 불법 사이버 활동 차단 등을 통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자금 조달을 틀어막는 이른바 ‘돈줄죄기’에 주력하고 있다. 금융제재 대상자로 지정되면 사전허가를 받지 않고 외환거래나 금융거래를 할 경우 관련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

외교부는 “한미는 그간 3차례 개최된 북한 사이버 위협 대응 한미 실무그룹 협의 등을 바탕으로, 북한이 탈취한 암호화폐를 동결⸱압수함으로써 관련 피해를 줄여왔다. 또한, 민간 분야와 긴밀히 협력하여 북한 IT 인력의 차명계정을 상당 부분 차단하고 이들의 불법 수익 자금 일부를 회수함으로써 관련 활동을 위축시키는 성과를 거두어 왔다”면서 “우리 정부는 앞으로도 불법 사이버 활동을 비롯한 북한의 불법적인 외화벌이를 차단하기 위해 미국 등 우방국 및 민간 분야와의 공조를 더욱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제재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6번째 대북 독자제재로 작년 10월 이후 개인 36명과 기관 41개가 독자제재 대상으로 지정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