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국학 월례강좌>

‘국학과 민족주의 만나다’를 주제로 ‘2018 국학 월례강좌’가 매월 한 차례씩 열리고 있습니다. 우리사회가 민족통일이라는 커다란 시대적 소명을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학과 민족주의는 거의 백안시되고 있는 실정에서 절박한 마음들을 모아 기획된 강좌입니다. 이 강좌는 (사)국학연구소와 21세기민족주의포럼이 공동 주최하고 통일뉴스가 후원하고 있습니다. /편집자 주

(12강) 김동환 “홍익인간.접화군생은 지고지선의 인류애”

(11강) 강철구 “신자유주의 무너지면 민족.민족주의 가치 커질 것”

(10강) 김치관 "분단으로 단절된 동학.국학은 민족통일운동의 원천"

(9강) 정영훈, ‘통일을 위한 중심이론’ 삼균주의와 신민족주의

(8강) 임영태 “과거사 청산은 ‘기억 책임 미래’”

(7강) 임찬경 “많은 시민들이 ‘고대사 논쟁’에 참여해야 한다”

(6강) 신운용 “나철의 대종교 중광, 한국 민족주의 근대의 기원

(5강) 주요섭 ‘다시 개벽’으로 모두가 ‘진인’인 시대로

(4강) 박용규 “남북 언어 이질성, 교류만 하면 해결될 문제”

(3강) 이병한 “현대와 전통 분단체제 극복이 최대 화두”

(2강) 정수일 “진정한 민족주의자는 진정한 국제주의자”

(1강) 김동환, “국학을 세워 분단을 넘는다”
 

 

우리 국학의 실체 ‘풍류’와 ‘신교’

▲ 김동환 국학연구소 연구위원은 20일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국학이 미래다'를 주제로 '2018 국학 월례강좌' 마지막 강연을 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우리 국학이 지향하고자 하는 ‘우리는 뭐냐’면 홍익인간(弘益人間), 접화군생(接化群生)의 가치다. 최고의 휴머니티를 보여준다.”

김동환 국학연구소 연구위원은 지난 20일 오후 7시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교육회관 430호에서 열린 ‘2018 국학 월례강좌’ 마지막 12강좌로 “국학이 미래다 - 나 없이는 우리도 없다”를 주제로 강연하며 ‘단군의 홍익인간’ 국시(國是)를 강조했다.

지난 1월 첫 강좌에서 ‘왜 다시 국학인가’를 주제로 강연한 바 있는 김동환 연구위원은 ‘우리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나를 품고 우리로 가야한다”며 “문제는 내가 우리가 되는 논리의 도덕성과 보편성”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앞서, 김동환 연구위원은 ‘나를 헤아리기’ 위해 ‘국학’을 이해해야 한다며 “국학의 속성을 학문적 속성과 민족적 속성, 인류적 속성으로 생각해봤다”며 학문적으로 문.사.철(文史哲)을 융회하는 ‘통학적 논리성’이 중요하고, 민족적 속성으로는 ‘사상적인 정체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상적 정체성에 대해 “우리 민족 고유의 사상성에 근접한 가치로써, 타집단 혹은 타국가․타민족과 구별되는 철학적 사유체계로 정의해볼 수 있다”며 중국 국학의 실체는 유교이고, 일본 국학의 실체는 신도(神道)며, 우리 국학의 실체는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나라에 현묘한 도가 있으니 이름하여 풍류(風流)다”라는 대목에서 적시한 ‘풍류’, 즉 ‘밝달도’, ‘배달도’, ‘신교(神敎, 선도)’라고 풀이했다.

특히 “신채호 역시 단군시대의 선인(仙人)을 국교(國敎)인 동시에 민족사의 정화(精華)로 보고 이러한 정신을 국학으로 인식하였다”며 “단군시대로부터 흘러오는 신교적(神敎的) 인물들을 열거하면서, 불교학.유학과 구별되는 국학의 의미를 단군사상과 연결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구축의 대상과 저항의 주체, 핵심은 단군”

▲ 김동환 연구위원은 중국이나 일본과는 다른 우리 고유의 정체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풍류와 신도를 제시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그는 ‘나를 뉘우치기’ 위해 “중화(中華)의 구축, 중화를 몰아내서 자주성을 확인하는 방법, 그리고 친일의 일소, 친일 문제를 씻어내서 독립성을 확립하는 작업. 이게 뭐냐면 과거를 반성하는 대표적인 틀”이라고 전제했다.

먼저 “중화에 의해 가장 구축대상으로 꼽혔던 것이 팔관(八關)이다. 성리학적 유교나 몽고에 강렬하게 저항하고자 했던 집단 자체도 팔관이다”라고 제시했다. 또한 “조선시대에 와서는 단군과 기자가 치열하게 대립한다”며 “조선조 때 극렬하게 대립했던 것이 신교와 유교.성리학의 대립”이라고 진단하고 “단군의 가치가 중화적 가치에 극렬하게 저항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일제강점기 때 구축의 대상과 저항의 주체가 뭐냐”고 묻고 “신교와 신도의 대립”이라며 “일본이라는 나라는 신도 국교화를 통해서 자기네 정체성을 확실하게 확립하려고 노력했다”고 짚었다. 아울러 “부수적으로는 조선어와 일본어의 대립이 극렬하게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국어는 일어가 되고 조선어는 외국어가 됐다는 것. 국사는 일본사가 되고 조선사는 외국사가 된 것도 마찬가지다.

그는 “구축의 대상과 저항의 주체로서의 핵심적인 게 단군문제 아니냐”며 “신도와 신교의 대립도 마찬가지고 한글문제에서도, 조선사 문제에서도, 저항의 문제에서도 단군을 빼놓고서는 그 에너지를 쉽게 말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그는 신교를 중광(重光)한 대종교(大宗敎)의 홍암 나철(1863-1916)을 특별히 언급했다. “사실 근대 정체성이 나철로부터 다 나왔지 않나. 언어, 국어운동의 활력소를 이 사람이 불어넣은 것 아닌가. 국사 확립의 중요한 모멘텀을 이 사람이 제공한 거다. 우리나라에 철학이 어디 있었나. 유교와 불교밖에 더 있었나. 단군을 올바로 바라보게 한 장본인이 바로 이 사람이다. 그리고 개천절이라는 국가제전을 이 사람이 만든 것 아닌가. 단기 연호라는 국가기원이 이 사람에 의해서 세워진 것 아니냐. 자, 이 사람은 어떻게 본다면 우리 근대성 자체를 만든 장본인이다.”

“‘나인 동시에 우리’인 가치가 홍익인간”

▲ 정해랑 21세기민족주의포럼 대표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강좌는 강연에 이어 질문과 답변이 진행됐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김동환 연구위원은 결국 우리의 정체성을 담은 국학이 ‘나에서 우리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창조적 논리개척이 시급하다”며 조동일 서울대 명예교수의 수입학, 시비학, 자립학, 창조학이라는 네 가지 학문분류를 준용, 수입학과 시비학에 머물러 있는 우리 학문을 자립학과 창조학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회색적 지식사회에서 모든 지식인들의 사고가 경계인적 사고”라며 “기껏해야 절충주의, 아니면 타협주의, 그리고 좀더 강하게 이야기하면 양비론이나 양시론”이라고 학계의 풍토를 비판하고 “자기 존재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외면하고, 집단의 역사 속에 함께 녹아 섞이지 못하는 학문은 결코 살아있는 학문이라 하기 힘들다”며 “그 집단의 원형을 고민하며, 향유해온 역사와 호흡하려는 학문, 그것이 바로 국학”이라고 제시했다.

그는 독일의 역사철학자 헤르더(Johann Gottfried von Herder, 1744-1803)를 인용 “모든 것이 전통과 연관되어 있는 이 세상에는 보편적인 가치란 존재하지 않는다”며 “모든 문화는 동등하며, 따라서 역사에는 진보나 퇴보 대신 ‘가치를 지닌 차이’만이 존재할 뿐”이라고 전제했다.

특히 “창조하는 학문, 열린 세계로의 지향하는 학문을 해야 된다는 것이 바로 국학의 방향”이라며 “내가 우리가 되는 논리의 도덕성과 보편성”에 방점을 찍었다.

실제로 “한나라 주나라 이후부터 유교를 토대로 해서 화이(華夷)질서로서 세계를 제패하려는 꿈을 갖고 지금 신중화(新中華)질서도 거기에 걸고 넘어지는 것”이고, “일본이 말하는 팔굉일우(八紘一宇)라는 것은 천황의 그늘 아래에서 세계를 하나로 묶는다는 거다. 이게 뭐냐면 철저한 황국주의의 보편화를 말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고조선 때 환웅이 이 땅에 왜 왔느냐. 홍익인간 하려고 왔다. 홍익인간은 한 마디로 지고지선의 인류애 아니냐”고 제시하고 “신라시대의 최치원을 이야기하면서 접화군생(接化群生)으로 나온다. 현묘지도(玄妙之道) 왈 풍류다. 그런데 그게 접화군생의 도다. 현묘지도면서 접화군생이다”며 “만나면 배타하고 싸우고 하는 것이 아니라 만나면 서로 어울리는, 융회되는 그런 게 우리 고유의 풍류도, 배달도, 밝달도, 단군도”라고 설명했다.

나아가 “홍익인간의 가치도 우리 민족의 정서적 국시(國是)라는 특수성과 함께 인류대동을 지향하는 보편성을 동시에 안고 있다”며 “‘나인 동시에 우리’인 가치가 홍익인간 아니냐, 그러니까 접화군생이 되는 거다”라고 풀이했다.

“나철, 인간수행을 위해 상당히 노력했던 사람”

▲ 김동환 연구위원은 '지고지선의 인류애'가 이상사회를 꿈꾸는 이들의 공통된 토대라고 짚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그는 헤르더의 “인간성은 인간 본성의 목적이며 신은 이 목적과 함께 인간 자신의 운명을 인간에게 위임했다는 주장”을 수긍하며 “인성(人性)의 부단한 수련을 통한 신인간(新人間, 神人) 창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고 말했다.

범재신론(汎在神論, polyamory panentheism)에서 “절대자인 하느님과 내 마음 속의 하느님을 일치시킬 수 있는 것”이 바로 “인간이 노력울 통해서 절대적 하느님과 하나가 될 수 있는 것”을 뜻하며, 우리 고유 경전인 <삼일신고>에 나오는 ‘나의 본성에서 한얼의 씨알을 구하면, 이미 우리 머릿골 속에 있다’는 ‘자성구자 강재이뇌(自性求子 降在爾腦)’, 동학의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인내천(人乃天)과 일맥상통 한다는 것.

그는 헤르더의 세계주의와 김구의 사해일가의 꿈, 조소앙의 삼균주의, 이회영의 대동세계 등을 도표로 제시하며 “세계가 하나될 수 있는 끈이 뭐냐, 지고지선의 인류애라는 것을 알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나아가 홍암 나철이 대종교 신도들에게 남긴 유서 중 <밀유(密諭)>에서 “다른 교인을 별달리 보지 말며, 외국 사람을 따로 말하지 말고(勿岐視敎外人 勿異論城外人)”라는 대목을 적시하며 “이게 다종교, 다문화 사회에 열린 대표적인 글”이라며 “이걸 할 수 있었던 이유는 홍익인간을 지향하면서 살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고지선의 인류애의 가장 핵심인 인간수행을 위해 상당히 노력했던 사람이기 때문이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동북아 호랑이들 속에서 우리가 살아남을 수 있는 길”

▲ 김동환 연구위원은 특유의 '고슴도치론'을 제창하며 국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김동환 연구위원은 “동북아 호랑이들 속에서 우리가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은 고슴도치가 되는 길”이라며 “너네가 우릴 잡아먹으면 죽는다는 걸 보여줘야 한다. 그게 국학이다”고 선언하고 “경계인적 사고가 좋은 점도 있겠지만 분명한 주장, 반론이 딱딱 나와야 새로운 지향론이 나온다”고 강조했다.

‘북한의 국학 실태’에 관한 질문을 받고 그는 “북한이 국학에서 가장 상대적 우월성을 갖는 분야는 언어”라고 평가하면서도 북한 역사학자 리지린의 <고조선 연구> 사례를 들어 고조선의 중심지가 ‘만주 중심설’에서 ‘대동강 중심설’로 바뀌었다고 지적하고, “학문이 사실상 (정치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고 한계를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에서 평양시민들미 운집한 가운데 행한 연설에서 “5천년을 함께 살고 70년을 헤어져 살았다”고 말한 대목과 남북 지도자의 백두산행을 중시하며 “그 5천년의 의미와 백두산의 민족적 가치를 해명해주는 것, 그것이 바로 통일시대를 위한 국학의 논리”라고 말했다.

국학연구소(이사장 김종성)와 21세기민족주의포럼(대표 정해랑)이 공동주최하고 통일뉴스가 후원한 ‘2018 국학 월례강좌’는 올해 1월부터 매월 한 차례 열렸고, 이날 강좌로 마무리됐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