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국학 월례강좌>

‘국학과 민족주의 만나다’를 주제로 ‘2018 국학 월례강좌’가 매월 한 차례씩 열리고 있습니다. 우리사회가 민족통일이라는 커다란 시대적 소명을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학과 민족주의는 거의 백안시되고 있는 실정에서 절박한 마음들을 모아 기획된 강좌입니다. 이 강좌는 (사)국학연구소와 21세기민족주의포럼이 공동 주최하고 통일뉴스가 후원하고 있습니다. /편집자 주

(12강) 김동환 “홍익인간.접화군생은 지고지선의 인류애”

(11강) 강철구 “신자유주의 무너지면 민족.민족주의 가치 커질 것”

(10강) 김치관 "분단으로 단절된 동학.국학은 민족통일운동의 원천"

(9강) 정영훈, ‘통일을 위한 중심이론’ 삼균주의와 신민족주의

(8강) 임영태 “과거사 청산은 ‘기억 책임 미래’”

(7강) 임찬경 “많은 시민들이 ‘고대사 논쟁’에 참여해야 한다”

(6강) 신운용 “나철의 대종교 중광, 한국 민족주의 근대의 기원”

(5강) 주요섭 ‘다시 개벽’으로 모두가 ‘진인’인 시대로

(4강) 박용규 “남북 언어 이질성, 교류만 하면 해결될 문제”

(3강) 이병한 “현대와 전통 분단체제 극복이 최대 화두”

(2강) 정수일 “진정한 민족주의자는 진정한 국제주의자”

(1강) 김동환, “국학을 세워 분단을 넘는다”
 

 

▲ 임찬경 국학연구소 연구원은 7월 19일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2018 국학 월례강좌’ 일곱 번째 강연자로 나서 ‘국학과 역사–고대사 논쟁’을 주제로 발표했다.[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많은 시민들이 역사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고대사 논쟁에 참여해야 한다. 올바른 논쟁의 방법을 파악해야 한다.”

임찬경 국학연구소 연구원은 7월 19일 오후 7시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교육회관 430호에서 열린 ‘2018 국학 월례강좌’ 일곱 번째 강연자로 나서 ‘국학과 역사–고대사 논쟁’을 주제로 “우리사회의 ‘고대사 논쟁’ 그 실태와 진전을 위한 방법 모색”을 발표했다.

중국 연변대학교에서 고구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임찬경 연구원은 “우리사회의 고대사 논쟁의 주요 쟁점들이 많은데, 실제로 따지고 보면 그 쟁점들은 사대사관과 식민사관에 의해 왜곡된 것들”이라며 “우리사회에서 가장 첨예하게 논쟁되고 있는 문제, 우리 역사의 시작과 관련된 문제인데,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서 우리 역사 서술이 달라진다”고 운을 뗐다.

이병도 “용변을 보고 있는 동안에 갑자기 영감이”

▲ 임찬경 연구원은 기존 학계가 이병도의 고대사 관련 주장들을 지금까지 비판 없이 답습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실제로 삼국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우리 고대사에 대한 정립된 학계의 정설이 없고, 단군은 신화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는 “위만조선의 위치 및 한사군 문제가 고대사 논쟁의 핵심적 사안”이라고 짚었다.

구체적으로 “이병도 등의 한사군 주장은 전혀 학술적이지 못하다”며 “한사군 중의 현토군이 현재 중국의 환인(桓仁)에 있었다고 주장하는데, 그 근거는 현토(玄菟)의 발음이 환인의 옛 지명인 환도(丸都 혹은 桓都)와 발음이 비숫하다는 것뿐이다”고 주장했다.

그는 윤무병이 “지금도 기억에 남는 재미있는 일화가 하나 있다. 그것은 저 유명한 ‘현토군환도설(玄菟郡丸都說)’에 대한 것인데 이 문제를 놓고 선생님(이병도)은 많은 심사숙고를 거듭하였으나 해결의 실마리를 얻지 못하고 있었던 차에 하루는 뒷간으로 들어가서 용변을 보고 있는 동안에 갑자기 영감이 떠오르는 것처럼 문제가 해결되었노라고 얼굴에 웃음을 피우시면서 그 내력을 들려주시었다”는 증언을 예시했다.(尹武炳, 「斗溪先生과 史蹟踏査」 『歷史家의 遺香』, 一潮閣, 1991)

그는 “이병도로부터 비롯되어 그의 후학들에게 거의 비판없이 이어지는 한국사학계의 고대사에 대한 오류들은 예를 들면, 한사군 문제를 비롯하여 고조선의 위치, 위만의 족계(族係) 문제, 부여와 고구려의 초기 위치 및 강역 문제, 삼한과 예 및 옥저의 위치 문제, 삼국과 왜의 관계 등 고대사 거의 전반에 널려있다”며 “전부 이병도가 만들어놓은 고대사의 틀 속에서 우리 고대사학계가 아직도 그것을 못 벗어나고 있는 거다”라고 진단했다.

특히 “이병도의 여러 고대사 관련 서술은 실증이 없고 미검증 상태”라고 평가하고 “우리 사회의 고대사 논쟁의 쟁점들은 일종의 사관에 의해 왜곡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기자조선, 위만조선, 그리고 낙랑군 평양설

▲ 임찬경 연구원이 제시한 기자조선, 위만조선, 한사군 낙랑 관련 도표. [자료사진 - 통일뉴스]

대표적 사례로 “한사군 중의 낙랑 문제는 처음에, 현재의 평양이 고대의 기자조선(箕子朝鮮)이나 위만조선(衛滿朝鮮)이 있던 지역이며, 또 서기전 108년에 한무제가 이곳을 정벌하여 한사군 중의 낙랑군을 설치했다는 식의 역사왜곡에 의해 발생한 것”이라며 그 이유로 “그들이 정통으로 여기는 기자를 평양에 꼭 모셔야 놔야 한다”고 비판했다.

소중화(小中華)를 자처한 조선시대 학자들이 중국에서 건너온 기자로부터 우리 역사가 시작됐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싶어했다는 것. 이에 더해 “일제는 조선 역사의 식민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현재의 평양에 낙랑을 반드시 위치시켜야 했다”고.

그러나 기자조선 평양설은 도저히 학술적으로 성립되기 어려워 이제는 슬며시 위만조선과 낙랑군 평양설만 남게 됐다는 것이다.

그는 “결국 현재의 평양에 한무제가 설치한 낙랑군이 있었다는 한사군 인식은, 조선시대를 거쳐 일제에 의해 더욱 강화된 것”이라며 “문제는 21세기로 넘어선 이 시점에도 역시 조선시대의 사대사관과 일제의 식민사관으로 왜곡시킨 한사군 논리를 극복하지 못하고, 그 논리로 고대사 논쟁을 지속하고 있는 부끄러운 우리의 현실”이라고 짚었다.

그는 김부식이 1145년에 지은 『삼국사기』을 근거로 “삼국사기 지리지에 분명하게 기록돼 있다. 고구려의 첫 도읍은 요하를 건너 서쪽으로 의무려산 일대에 있다는 거다”며 “왜 고구려 첫 도읍이 이 지역에 있었는지 알게 됐느냐면, 고려시기에 요나라를 방문하는 고려의 사신들이 왕래하면서 확인했다는 거다”고 말했다.

또한 “더 중요한 사실은 삼국사기 기록을 보면 고구려의 제사 기록들이 나온다”며 “초기부터 6백년대까지 졸본에 가서 계속 제사를 지낸 거다. 어떤 때는 졸본에 제사를 가서 한달, 두달 머물다 오기도 한다”며 고구려 첫 도읍 졸본이 600년대까지 고구려 강역이었음이 확실하다고 주장했다.

▲ 임찬경 연구원이 제시한 고구려 첫 수도 졸본과 위만조선 추정 지역. [자료사진 - 통일뉴스]

그는 “첫 도읍을 600년대까지 계속 유지했다면 서기전 108년에 위만조선이 여기 와서 있을 가능성은 없다”며 “사료에 근거해서 위만조선의 위치를 대충 추정해 보면 난하, 조백하 일대”라고 추정하고 “이것이 고려시대 역사인식”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서기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을 쳐서 해체시켜서 한사군 중에 낙랑군을 만든 지역은 대동강 일대가 아니다”며 “그런 관점은 삼국사기에 분명하게 서술돼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사실 ‘통일신라’는 근대의 발명품”이라며 하야시 다이스케의 『조선사』(1892)에서 ‘통일신라’란 용어를 처음 만들어냈다고 지적하고, “그 책을 저술할 당시의 청(淸)으로부터 조선을 역사적으로 분리시켜 내기 위해, 신라와 당(唐)의 대립 및 신라에 의한 당의 축출을 강조하는 과정에 ‘통일신라’가 만들어진 것”이라고 풀이했다. 일부 재야사학계는 발해(대진국)와 신라(통일신라)의 남북국시기로 파악하고 있다.

나아가 “1930년대 이후에 통일신라를 우리 민족의 형성과 민족문화의 연원으로서 서술하는 경향이 생겨나게 된다”며 “해방 이후에 이런 역사를 청산하지 못한 세력에 의해서 계속 이어진다. 경상도 쪽이 집권을 많이 하고, 아직까지도 한국사회의 지배계층의 상당수가 조선시대부터 맥이 이어진다”고 짚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화랑’, ‘풍류’ 부각도 이같은 역사 왜곡의 맥락이라는 것.

“이데올로기로서의 사관을 정확히 파악해야”

▲ 임찬경 연구원은 고대사 논쟁에 많은 시민들이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그는 지난해 <한겨레21>이 한겨레 주주통신원까지 뛰어든 ‘고대사 논쟁’을 다뤘지만 어떤 결론도 내리지 못하고 “이제는 정치적 주장보다 역사의 본질로 돌아가려는 자세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접근과 노력이 절실한 때”라고 두루뭉술하게 맺은데 대해 “그 문제를 해결할 철저한 의지가 없었다”고 비판했다.

한편으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과 관련 “역사청산이라는 작업은 위험하기도 한 작업”이라며 “침묵의 카르텔에는 여도 야도 없었다. 노무현과 같은 정당에 있더라도 정당 소속원이지만 결국 그 사람은 지배층의 일원으로서 침묵의 카르텔의 일원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어느 시점에서 과거의 역사를 비판적으로 검토해서 극복하려는 고대사 논쟁을 올바로 시작하려면, 시대에 따라 그 사실 왜곡에 작용한 이데올로기로서의 사관을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그 서술에 작용했던 사관을 배제하고 우리의 민족·민주·민중적 시각으로 역사를 재해석해낼 수 있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그는 “현재도 역사청산 꼭 해야 한다. 어렵더라도 꼭해야 될 일을 해야 한다. 누구나 논쟁에 참여할 이유가 있다”며 “현재 우리사회의 국학연구자들에게는 고대사 논쟁을 통해서 반드시 과거사 청산을 이루고, 우리사회의 역사를 바로 잡음으로써 오래도록 왜곡되어온 불평등과 모순의 사회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어내겠다는 혁명적 자세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올바른 논쟁의 방법’으로 “낙랑 문제가 왜 저렇게 왜곡됐는가를 바로 알면 그것을 논쟁해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논쟁을 극복해나갈 수 있는, 뭔가를 터득하게 된다”며 “그리고 그것을 더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면서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제시했다. 본래의 역사적 사실이 왜곡된 이유를 알면, 왜곡된 사관을 걷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이제 문재인 정부에서는 변화가 있을 거다. 왜냐하면 문재인 정권은 촛불시민혁명에 의해서 집권했기 때문”이라고 전제하고 “사회의 그 어떤 것을 변화시키는 일은 다수 시민의 참여로만 가능하다”며 “기득권 권력을 정리할 수 있는 힘이 있을 때만 바꿀 수 있는 거지 지금 이건 학문적 논쟁은 아니다”고 결론지었다.

그는 “사실 역사라는 것이 교과서 수준의 역사는 올바른 관점에 의해서 씌여진다면 별 문제가 없다. 그런데 지금은 그런 게 안되니까 국정교과서든 검인정교과서든 문제가 된 것”이라며 “우리 사회가 조금더 민주화되고 조금더 국민 다수의 합의에 의해서 운영되는 사회로 진보하는 시점이 되면 역사교과서는 국가에서 써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강연에 이어 질문과 답변 시간이 이어졌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사)국학연구소와 21세기민족주의포럼이 주최하고 <통일뉴스>가 후원하는 ‘2018 국학 월례강좌’ 여덟 번째 강연은 임영태 현대사연구회 연구위원이 ‘현대사 논쟁’을 주제로 8월 23일 오후 7시 프란치스코교육회관 430호에서 열릴 예정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