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국학 월례강좌>

‘국학과 민족주의 만나다’를 주제로 ‘2018 국학 월례강좌’가 매월 한 차례씩 열리고 있습니다. 우리사회가 민족통일이라는 커다란 시대적 소명을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학과 민족주의는 거의 백안시되고 있는 실정에서 절박한 마음들을 모아 기획된 강좌입니다. 이 강좌는 (사)국학연구소와 21세기민족주의포럼이 공동 주최하고 통일뉴스가 후원하고 있습니다. /편집자 주

(12강) 김동환 “홍익인간.접화군생은 지고지선의 인류애”

(11강) 강철구 “신자유주의 무너지면 민족.민족주의 가치 커질 것”

(10강) 김치관 "분단으로 단절된 동학.국학은 민족통일운동의 원천"

(9강) 정영훈, ‘통일을 위한 중심이론’ 삼균주의와 신민족주의

(8강) 임영태 “과거사 청산은 ‘기억 책임 미래’”

(7강) 임찬경 “많은 시민들이 ‘고대사 논쟁’에 참여해야 한다”

(6강) 신운용 “나철의 대종교 중광, 한국 민족주의 근대의 기원

(5강) 주요섭 ‘다시 개벽’으로 모두가 ‘진인’인 시대로

(4강) 박용규 “남북 언어 이질성, 교류만 하면 해결될 문제”

(3강) 이병한 “현대와 전통 분단체제 극복이 최대 화두”

(2강) 정수일 “진정한 민족주의자는 진정한 국제주의자”

(1강) 김동환, “국학을 세워 분단을 넘는다”
 

 

▲ 김동환 국학연구소 연구위원이 18일 서울 광화문 조영래홀에서 '왜 다시 국학인가'를 주제로 열린 '2018 국학 월례강좌'에서 첫 강연을 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국교(國敎)와 국사(國史)가 망하지 않으면 그 나라는 망하지 않는다.”

박은식 선생의 『한국통사』 한 구절을 인용하며 곱씹는 김동환 국학연구소 연구위원의 표정엔 절절함이 배어난다. 홍암 나철 선생의 ‘국망도존(國亡道存), 나라는 망해도 정신은 살아있다’는 ‘천년을 뒤엎는 외침’이 박은식에게서 국교와 국사로 구체화 된 것.

(사)국학연구소와 21세기민족주의포럼이 공동 주최하고 <통일뉴스>가 후원하는 ‘2018 국학 월례강좌 - 국학과 민족주의 만나다’ 첫 강좌가 18일 오후 7시 서울 광화문 변호사회관 조영래홀에서 열렸다.

첫 강연자로 나선 김동환 연구위원은 “왜 다시 국학인가”를 주제로 국학의 개념과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짚었다. 그는 고려시대 과거제도 도입 이래 1천년을 ‘암흑의 역사’로 규정하고 홍암 나철(1863~1916)로부터 시작되는 대종교(1909년)와 국학을 ‘비로소 나를 알다’, ‘천년을 뒤엎는 외침’으로 자리매김했다.

김동환 연구위원은 먼저, 국학의 개념에 대해 “전근대 사회까지 동북아의 국학으로 통용화돼 사용된 것이 문.사.철(文史哲)이고 중국은 다시 문.사.철을 국학이라는 학문으로 만들어놓고 있다”며 “수두, 현묘지도, 접화군생으로 표현되는 집단의 원형, 고유의 문.사.철을 융회하는 통학적 논리로 정체성, 차별성, 연속성, 개방성을 충족하는 인문학적 사상(事象)”이라고 규정했다.

천년의 아픔, 중화의 굴레

▲ (사)국학연구소와 21세기민족주의포럼이 공동 주최한 '2018 국학 월례강좌' 첫 강연 모습.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그는 우리 국학의 ‘천년의 암흑’이 고려 광종 때 과거제도를 도입한 때(958년)부터 1894년 갑오개혁으로 과거제도가 폐기될 때까지 이어진 것으로 파악했다. “과거 제도의 시험과목이 다 유교경전 아니냐”는 것.

“우리나라에서 행세를 하려면 유교를 머릿속에 달달달 외우고 그렇게 행동해야 하고, 그런 가치로 살아야 된다. 그래야 사대부, 벼슬아치가 되고 그래야 지식인 행세를 할 수 있다.”

과거제도(科擧取人)부터 시작해, 유교적 질서를 틀지은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時務施策), “주자를 내세워 중화의 굴레를 앞세워 씌운” 정몽주의 존주자양이적(尊朱子攘夷狄), “조선에 중화의 나라를 세우겠다”는 정도전의 동주조선(東周朝鮮), 임진왜란 이후에는 나라를 구해준 명나라에 대한 재조지은(再造之恩), 송시열의 존주대의(尊周大義)로 이어져 왔다.

더욱이 실학을 주창한 박지원의 법고창신(法古創新)이나 이항로의 위정척사(衛正斥邪), 개화파의 동도서기(東道西器), 급진 개화파의 서도서기(西道西器)마저도 “조선이 무너진 원인을 가지고 다시 조선을 재건해 보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천년의 아픔은 바로 중화(中華)의 굴레다. 중화의 굴레는 지금도 그대로 살아있다”고 진단하고 “시진핑이 얼마 전에도 떠들어댔던 중국몽(中國夢)도 사실상 중화주의의 포장”이라고 짚었다.

그는 신규식의 “첫째, 선조의 교화(敎化)와 그 종법(宗法)을 잊어버렸고, 둘째 선민(先民)의 공렬(功烈)과 그 이기(利器)를 잊어버렸으며, 셋째 국사(國史)를 잊었고, 넷째 국치(國恥)를 잊었으니, 이렇게 사람들은 잊어버리기를 잘하고 보면 나라는 망하게 마련인 것이다”(『한국혼』)는 대목과 신채호의 “석가가 들어오면 조선의 석가가 되지 않고 석가의 조선이 되며, 공자가 들어오면 조선의 공자가 되지 않고 공자의 조선이 되며, 주의가 들어와도 조선의 주의가 되지 않고 주의의 조선이 되려 한다... 특색이라면 노예의 특색이다. 나는 조선의 도덕과 조선의 주의를 위해 통곡하려 한다”(「낭객의 신년만필」)는 대목을 제시했다.

‘천년을 뒤엎은 외침’, 홍암의 국망도존

▲ 김동환 연구위원은 홍암 나철의 '국망도존'을 천년의 암흑을 지나 비로소 우리를 알게 된 '천년을 뒤엎는 외침'이라고 자리매김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천년을 뒤엎은 외침’은 역설적으로 나라를 잃고서야 터져나왔다. “우리는 노예가 아니라는 외침이 바로 홍암 나철의 국망도존(國亡道存)이다.” 나라는 망해도 정신(도)은 존재한다는 것으로 항일운동의 토대가 됐다는 것.

그는 “이 정신의 본체가 뭐냐. 조선 전기까지 흘러왔다 완전히 차단됐던 단군이 바로 그것”이라며 “이 정신(도)의 본체는 단군으로, 그 종교화가 대종교요, 그 문화화가 역사민족주의, 어문민족주의이며, 그 투쟁화가 무장독립운동”이라고 규정했다.

“이 구호에 의해서 민족주의 역사학이 자리잡는 것 아니냐. 김교헌이나 박은식, 신채호, 정인보, 안재홍 이런 사람들이 이 정신으로서 역사를 체계화 시킨다”, “이 집단에 의해서 사실상 한글이 본격화 된 것 아니냐. 주시경, 이극로, 김두봉, 최현배, 이윤재, 신명균이 다 이 정신을 가지고 한 것이다”, “이 투쟁화가 무장독립운동이다. 대표적인 게 북로군정서이고, 서일, 김좌진 이런 사람들이다. 이 사람들이 외쳐댄 게 1917년 대동단결선언이고, 1918년 무오독립선언이다.”

그는 박은식이 『한국통사』에서 “국교(國敎)와 국사(國史)가 망하지 않으면 그 나라는 망하지 않는다”고 썼다면서 “문화정체성의 가장 중요한 두 요소가 종교하고 언어”라고 적시했다.

실제로 일제 말기인 1940년대 일제의 칼끝은 “우리 정신의 국수인 대종교를 없애는 것과 한글을 없애는 것”으로 돌려져 만주에서 1942년 대종교지도자를 일제 구속하는 ‘임오교변’을 일으켰고, 국내에서 ‘조선어학회 사건’을 일으켰다.

“상해임시정부의 산파역할을 한” 예관 신규식은 홍암 나철이 1916년 구월산 삼성사에서 자결하자 만장에 ‘조선조 5백년 동안 둘 없는 나라의 선비’, ‘신교(神敎) 역사 4천년 최고의 종사(宗師)’라고 기렸다.

희망의 불씨, “가치를 세워 분단을 넘는다”

▲ 이날 강좌에는 국학연구소와 21세기민족주의포럼 회원 등이 참석했다. 전형배 21세기민족주의포럼 기획위원이 질문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그는 ‘희망의 불씨’로 “상징(국학)을 세워 분열을 넘는다. 몸통(국학)을 세워 좌우를 넘는다. 가치(국학)을 세워 분단을 넘는다”를 제시하며, “통일도 가치관이다. 우리 가치관이 아름답고 정체성이 있어야 통일이 정당성을 갖는다”고 강조했다.

또한 “동북아가 굉장히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라고 본다”면서 “동북아는 신교(神敎), 국학 싸움”이라고 규정하고 “일본은 이미 우리의 신교를 가져다가 신도(神道)를 만들었고, 신도를 토대로 국학으로 간다”고 진단하고 “중국은 유교를 가지고 국학을 세우려고 하지만 지금 딜레마에 빠졌다”고 짚었다. 중화문명 보다 수천년 앞선 홍산문명이 발굴됐기 때문이다.

그는 “불행하게 일본이나 중국은 국학을 논리화시켜서 제품을 만들어서 보급을 하는데, 우리는 그 개념도 세우지 못하고 있다”며 특유의 ‘고슴도치론’을 폈다.

“우리보다 힘센 호랑이가 있을 때 고슴도치가 되는 논리가 국학이다. ‘너네가 우리를 잡아먹으면 죽는다’, 이게 일제 강점기 때 우리 독립군들이 보여준 것이다.”

그는 △신교의 주도권 확립 △국학의 경쟁력 확보 △통일의 능동적 완성 △경제.문화의 Y밴드 구축 등을 ‘동북아 시대’의 과제로 제시하고 △주인의식의 자각 △진정한 양심의 발현 △사회.경제정의의 실현을 미래상으로 제안했다.

아울러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홍익인간이라는 우리 국조 단군의 이상이 이것이라고 믿는다”는 백범 김구의 ‘나의 소원’을 인용하기도 했다.

“국학이 바로 민족주의의 동력이 될 것”

▲ 왼쪽부터 인사말을 한 김종성 국학연구소 이사장과 정해랑 21세기민족주의포럼 대표, 축사를 한 이계환 <통일뉴스> 대표.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첫 강좌에 앞서 진행된 1부 개강식에서 김종성 (사)국학연구소 신임 이사장은 인사말에 나서 “우리나라를 위해서 일을 하는 정치적인, 사회적인 세력은 상당히 찾아보기 어렵다”며 “이번 기회에 민족주의 정신을 되새기면서 다시 한번 새로운 이론으로 무장하고 정신적인 회복을 한다는 의미에서 굉장히 좋은 세미나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해랑 21세기민족주의포럼 대표는 “남북이 모처럼 만에 화해를 하는데 앞서서 반대하는 자들이 누구냐. 다 적폐세력이다. 매국노들이다”고 단죄하고 “국학이 바로 민족주의의 동력이 될 거라 생각한다”며 “국학과 민족주의의 전도사가 되자”고 인사말을 했다.

이계환 <통일뉴스> 대표는 축사를 통해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분위기가 높아지고 있는 이런 분위기에 ‘국학과 민족주의 만나다’ 강좌의 의미가 작다고 볼 수 없다”며 “국학과 민족주의의 첫 만남이 새시대에 맞게 새로운 영역을 확장해 나갈 수 있는 역사적인 해후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찬경 국학연구소 연구위원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국학과 민족주의 만나다’를 주제로 한 ‘2018 국학 월례강좌’는 같은 장소에서 2월 22일 정수일 한국문명교류연구소 소장의 ‘왜 다시 민족주의인가’, 3월 15일 이병한 박사의 ‘왜 유라시아인가’ 강연으로 이어질 예정이다.

(추가, 06:21)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