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 현장시찰단(단장 유국희 원안위원장)은 23일 발전소 중요 설비들을 확인했다.
현장시찰단은 이날 밤 ‘일일 브리핑’을 통해 “시찰단은 23일 오전 10시경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 도착해 19시까지 오염수의 해양방출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설비인 알프스(ALPS)를 포함해 중앙감시제어실, K4탱크군, 이송설비 등을 중점 확인했다”고 밝혔다.
시찰단은 오염수의 방사성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운영 중인 알프스는 기설·증설·고성능 3가지 종류별로 흡착탑 계통구성, 방사성핵종별 제거원리와 방법, 설비 고장사례 및 조치현황 등에 대해 점검했다.
오염수 관련 설비에 대한 컨트롤타워인 중앙감시제어실은 경보창 구성, 제어반 등을 확인하고, 긴급차단밸브와 방사선감시기에 대한 감시제어기능 점검을 통해 이상 상황 발생 시 즉시 경보가 울리고 방출 차단 절차가 신속하게 진행 가능한지 확인했다.
측정확인용 설비인 K4탱크군은 오염수 해양 방출 전 배출기준 만족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농도 균질화 작업과 농도분석이 이뤄지는 설비로 농도 균질화를 위한 펌프, 밸브 등 순환기기의 설치상태 등을 점검했다.
이송설비인 K4탱크군에서 희석설비로 오염수를 이송하는 설비인 이송설비는 유량계, 방사선감시기, 이송펌프 등이 설계도면대로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했다.
오염수 저장탱크는 내진설계 현황 및 누설확대방지조치 등을 확인했다.
(자료 제공 - 전문가시찰단)
시찰단은 현장 시찰 이틀째인 24일에는 방사능 분석실험실, 삼중수소를 희석하기 위한 희석설비와 오염수 방출설비에 대해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알프스 처리 전후 농도분석 결과값에 대한 원자료를 확인하는 등 알프스 성능에 대한 점검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앞서, 일본에서 활동 첫 날인 22일에는 오후 1시 30분부터 4시간 동안 일측과 기술회의를 갖고 현장시찰 각 일자별로 점검 사항을 확인하고 오염수·지하수 등 후쿠시마 원전의 전반적인 현황을 점검했다.
관련기사
- 핵 오염수 해양투기는 최선 아닌 저렴한 방법일 뿐.."즉각 중단해야"
- 한일 외교장관, 히로시마 G7 계기 회담
- “현장 눈으로 확인”...검사장비⸱시료채취는 없어
- 한일 시민사회, “평화롭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 한일, 후쿠시마 오염수 시찰단 ‘나흘 일정’ 합의
- 정부, 후쿠시마 오염수 자체 검토 결과 ‘국민들께 설명’
- 외교부, “일관되게 ‘오염수’라고 부르고 있다”
- 국회 기자회견장, ‘후쿠시마 시찰단 파견’ 규탄 이어져
- 기시다, “역대 내각 역사 인식 계승” 되풀이
- 민주당 “IAEA, 8년전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권고”
- 후쿠시마 시찰단, ‘희석 및 방출설비’ 등 점검
- ‘도쿄전력의 해양 방출 설비 및 계획’ 확인
- 시찰단장 “의미있는 진전...추가 분석⸱확인 작업 필요”
- 중 외교부, “바다는 일본의 하수구가 아니다”
- 정부, 日측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계획에 ‘합격’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