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앞으로도 미얀마 국민들의 염원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사태가 해결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기여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 미얀마 국민통합정부(NUG)를 포함한 주요 당사자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할 예정입니다.”

청와대가 26일 ‘미얀마 국민통합정부(NUG)와 공식적인 외교관계를 맺음으로써 미얀마 군부를 규탄하고 미얀마 국민들의 손을 잡아달라’는 국민청원에 대한 답변을 통해 이같이 대답했다. 이 청원에는 26만 8,428명이 동의했다.

‘미얀마 국민통합정부’(NUG)는 지난 2월 발생한 군부 쿠데타에 맞서 연방의회 대표위원회가 주도적으로 구성한 임시정부다. 군부가 지배하는 ‘국가통치평의회’에 맞서 미얀마의 유일 합법정부라고 주장하고 있다. 

청와대는 “정부는 미얀마 사태 초기부터 민주주의를 향한 미얀마 국민들의 열망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에 걸쳐 표명해왔”고, “시민들에 대한 폭력 사용 중단, 수찌 국가고문을 포함한 구금자들의 즉각적인 석방, 미얀마 민주주의 및 평화·안정 회복 등을 지속적으로 촉구해왔다”고 밝혔다.

지난 3월에는 미얀마 측과의 국방·치안 분야 신규 교류 및 협력 중단, 군용물자 수출 불허, 미얀마에 대한 개발협력 사업 재검토를 골자로 하는 대응조치를 취했다. 국내 체류 중인 미얀마 인들에 대한 인도적 특별 체류조치도 발표했다. 

청와대는 “정부는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미얀마 민주주의 및 평화·안정 회복을 위해 계속해서 노력해 나가겠다”고 거듭 다짐했다. 그러나, 미얀마 ‘국민통합정부(NUG) 승인 요청’에 대한 명확한 답을 주지는 않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