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갈무리-트루스소셜 트럼프 계정]
[사진 갈무리-트루스소셜 트럼프 계정]

한때 급물살을 타는 듯했던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또다시 공개 저격했다. 

이날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을 통해서 “우크라이나는 크림반도 점령을 법적으로 승인하지 않을 것이다. 여기서 논의할 것은 없다”는 젤렌스키 대통령 발언이 “러시아와의 평화협상에 매우 해롭다”고 비난했다. “심지어 논의의 쟁점도 아니”라고 일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누구도 크림반도를 러시아 영토로 승인해달라고 요청한 적이 없지만 그가 크림반도를 원한다면 11년 전 총 한발 쏘지 않고 러시아에 넘겨줬을 때 왜 싸우지 않았을까”라고 꼬집었다. “오바마가 넘겨주기 몇 년 전부터 이 지역에는 러시아의 주요 잠수함 기지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젤렌스키의 선동적 성명으로는 이 전쟁을 해결하기가 아주 어렵다. 그가 큰소리칠 만한 것은 없다. 우크라이나의 상황은 심각하다”며 “그는 평화를 갖거나 아니면 나라 전체를 잃기까지 3년을 더 싸울 수 있다”고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와는 아무 관련이 없지만 아무 이유 없이 죽어가는 평균 매주 5천명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군인들을 구하고 싶다”고 주장했다.  

그는 “젤렌스키의 오늘 발언은 ‘킬링필드’를 연장할뿐 누구도 원하지 않는 것”이라며 “우리는 타결에 매우 가까워졌으나 ‘더 이상 카드가 없는’ 그가 지금 이 일을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완전하고 총체적인 혼돈에서 벗어날 수 있게 도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내가 대통령이었다면 (이 전쟁은) 결코 시작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구호를 되풀이했다.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은 트럼프의 SNS 논평을 전하면서 “크림공화국과 세바스토폴은 2014년 3월 16일 주민투표를 통해 러시아에 귀속됐다”고 거들었다. 크림반도 주민 80% 이상이 참가해, 96.7%와 95.6%가 ‘러시아와의 통일’에 찬성표를 던졌다는 것.

23일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돈바스와 노보로시야 지역에서 우크라이나 군의 철수를 종전 조건으로 거론했다. 세르게이 쇼이구 국가안보회의 서기는 “가까운 시일 내에” 쿠르스크 지역 전체를 해방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미국 인터넷매체 [악시오스]는 ‘소식통들’을 인용해 스티븐 위트코프 미국 중동특사가 25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날 수 있다고 23일 보도했다. 위트코프 특사가 탄 ‘걸프스트림 G650’이 파리에서 러시아로 향했다는 것.

[CNN]은 트럼프 대통령의 논평이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의 ‘런던 회의 불참 통보’ 직후 나왔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방송과 인터뷰한 ‘유럽 외교관’은 “돌파구가 곧 나올 것이라는 환상을 만들기보다 대화가 진행되도록 하는 편이 더 낫다”고 미국 측을 저격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는 항상 헌법에 따라 행동할 것이며 특히 미국을 비롯한 우리 우방국들도 우크라이나의 강력한 결정에 따라 행동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주장했다. 러시아의 크림반도 점령 승인은 헌법 위반이라는 것이다.

루비오 장관은 며칠 안에 진전이 없으면 미국은 손을 떼겠다고 압박하고 있으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 협상에 열려 있다는 원칙적 입장만을 내놨을 뿐 영토 등 중요 쟁점에서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