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 대통령실. [사진제공-대통령실]
서울 용산 대통령실. [사진제공-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의 동남아 순방을 이틀 앞둔 9일 대통령실이 MBC 취재진에 ‘대통령 전용기 탑승 불허’를 통보해 파문이 일고 있다.

대통령실은 “대통령 전용기 탑승은 외교, 안보 이슈와 관련하여 취재 편의를 제공해 오던 것으로, 최근 MBC의 외교 관련 왜곡, 편파 보도가 반복되어 온 점을 고려해 취재 편의를 제공하지 않기로 하였다”고 했다. 

“MBC는 자막 조작, 우방국과의 갈등 조장 시도, 대역임을 고지하지 않은 왜곡, 편파 방송 등 일련의 사태에 대해 어떠한 시정조치도 하지 않은 상태”이라며 “이번 탑승 불허 조치는 이와 같은 왜곡, 편파 방송을 방지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자막조작, 우방국과의 갈등 시도’는 윤 대통령의 두 번째 순방 도중인 지난 9월 21일(현지시각) 뉴욕 국제행사 때 ‘비속어 파문’과 관련 있다. 

거의 모든 언론이 “국회에서 이XX들이 승인 안해주면 바이든은(대통령실 주장은 “날리면”) 쪽팔려서 어떡하나”고 보도했음에도, 9월 26일 윤 대통령은 “사실과 다른 보도로서 동맹을 훼손한다는 것은 국민을 굉장히 위험에 빠뜨리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이 부분에 대한 진상이 더 확실하게 밝혀져야 한다”고 말했고, 그날 대통령실은 “어떠한 근거로 특정해서 자막으로 만들었는지” 등을 묻는 공문을 보냈다. [MBC]는 “해당 보도가 상식적인 근거와 정당한 취재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고 일축했다.  

‘대역임을 고지하지 않은 방송’이란, 김건희 여사의 논문 표절을 다룬 지난 10월 11일자 [MBC] ‘PD수첩’을 말한다. 김 여사와 비슷한 외무를 가진 대역을 쓰고 ‘재연’임을 표기하지 않았다 해서 논란이 됐다. 

첫 순방인 지난 6월 나토방문 때도 [MBC]는 ‘민간인의 공군 1호기 동승 사건’을 단독 보도한 바 있다. 윤 대통령 부부에게 ‘순방 트라우마’를 안긴 [MBC]에게 대통령실이 치졸한 방식으로 보복한 셈이다.  

[MBC]는 9일 “이번 조치는 언론의 취재를 명백히 제약하는 행위”라며 “전용기 탑승을 불허할 경우 MBC 취재기자들은 대체 항공 수단을 통해서라도 반드시 현장에서 취재활동을 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10일 출근길에 질문을 받은 윤 대통령은 “대통령이 많은 국민들의 세금 써가며 해외순방 하는 것은 그것이 중요한 국익이 걸려 있기 때문이다. 기자 여러분께도 외교·안보 이슈에 관해서 취재편의를 제공해온 것이고 그런 차원에서 받아들여주시면 되겠다”고 대답했다.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는 10일 정책조정회의에서 “국제외교무대에서 자신이 비속어를 내뱉어 평지풍파를 일으켰음에도 반성은커녕 순방 전용기에 보도 언론사의 탑승을 불허하는 뒤끝작렬 소인배 같은 보복행위”라고 꼬집었다. 

정의당 위선희 대변인은 “정녕 이것이 대한민국 대통령의 품격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개탄했다. 

특히 “대통령실의 이번 조치는 CNN 보도에 불만이 있던 트럼프 전 대통령이 CNN 기자들의 백악관 출입을 불허했던 것과 똑같다”면서 “아무리 미국이 좋다 해도 그 옹졸함의 그릇마저 닮아서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