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11일 4박 6일 일정으로 출국한다.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리는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9일 오전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알렸다.
윤 대통령은 11일 오후 프놈펜에 도착한 직후 ‘한-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윤석열 정부가 마련한 ‘인도태평양전략’, ‘한-아세안 연대 구상’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 동포간담회에 참석한다.
12일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현재, 한국은 한중일 정상회의 의장국이자 아세안+3에서 한중일을 대표하는 조정국이다. 아세안과 한중일 간 실질협력에 관한 구상을 설명할 예정이다. 주최국인 캄보디아가 마련한 갈라만찬이 이어진다.
13일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 참석하고 인도네시아 발리로 이동한다.
14일 윤 대통령은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 기업인들과 간담회를 가진다. G20 회원국 경제단체와 기업 대표들이 모이는 ‘B-20 서밋’, 전경련과 인도네시아 상공회의소가 주최하는 행사에도 참석한다.
G20 정상회의 첫날인 15일 식량·에너지 안보, 보건 세션에서 발언하고, 환영만찬에 참석한 뒤 귀국길에 오른다. G20 회의는 16일까지 열리지만, 국내 외교 일정이 잡혀 있기 때문이다. 17일 네덜란드 총리, 18일 스페인 총리가 방한한다.
김성한 실장은 “아세안 관련 회의는 역내 가장 중요한 다자외교 행사 중 하나”이고, “미국, 일본을 비롯한 주요국 정상이 매년 빠지지 않고 참석하는 회의”라며, “우리만의 특화된 인도태평양전략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해외순방은 북한의 도발, ‘이태원 참사’ 수습 등 국내외 현안이 산적한 가운데 이뤄진다”면서 “윤 대통령은 반드시 필요한 핵심 일정 위주로 참석한 후 귀국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민 여러분들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의 한일관계 정상화 의지가 아주 강하다던데 한일 정상회담 일정 확정됐는가’는 질문을 받은 고위관계자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대답했다. ‘한·미, 한·미·일 정상회담’에 대해서도 “협의 중”이라고 했다.
‘한·중 정상회담 여부’에 대해서는 “이번 (G20)에 시진핑 주석이 참석할 예정인데 윤 대통령과 자연스럽게 회의장에서 만날 기회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풀 어사이드’ 또는 조우 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