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24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우크라이나 상황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을 밝혔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24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우크라이나 상황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을 밝혔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러시아가 어떠한 형태로든 전면전을 감행할 경우, 우리 정부로서도 대러 수출통제 등 제재에 동참할 수 밖에 없음을 분명히 밝히는 바입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TV 특별연설을 통해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 보호를 명목으로 특별 군사작전을 공식 발표한데 대해 외교부는 대변인 성명을 통해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제반 상황에 비추어볼 때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공이 임박한 것으로도 볼 수 있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는 미국 등 우방국들과 대응 방안을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4일 특별연설을 통해 우크라이나 특별 군사작전을 공식 발표했다. [사진출처 - 크렘린 홈페이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4일 특별연설을 통해 우크라이나 특별 군사작전을 공식 발표했다. [사진출처 - 크렘린 홈페이지]

푸틴 대통령은 “외부 간섭이 있을 경우 러시아는 즉시 대응하겠다”고 엄포를 놓았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미국과 동맹국 및 파트너는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영삼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수출통제 등 제재에 동참할 시점으로 언급한 ‘전면전’ 상황에 대해 “현재로서는 우크라이나 상황을 우리 정부도 시시각각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구체적인 상황에 대해서는 이 자리에서 예단해서 말씀드리는 것은 삼가하고자 한다”고 비켜갔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에게 지난 22일 외교부 대변인 성명을 상기시키며 “현재로서는 그 이상의 추가적인 입장은 가지고 있지 않다”고 분명히 했다. 아울러 “계속해서 시시각각 상황을 예의주시해 가면서 필요한 입장표명, 조치상황에 대한 공유는 필요하면 바로 적시에 해드리겠다”고만 말했다.

최영삼 대변인은 22일자 성명에서 “우리 정부는 최근 전개되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긴장고조 상황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 우리 정부는 우크라이나의 주권, 영토 보전을 일관되게 지지해왔다”고 말하고 “우리 정부는 관련 당사자들이 국제법과 민스크협정 등을 존중하면서 평화적 해결방안을 모색해나갈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규탄과 침공 등의 단정적 용어를 피하면서도 우회적으로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 셈이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4일 오전 주요 7개국(G7) 정상들과 만나 러시아에 부과할 추가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동맹과 협력해 단합된 대응을 보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