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고위관계자가 23일 “우리는 우크라이나 정세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관련국과도 긴밀히 협의하면서 북한의 동향에 대해서도 지속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2일 ‘우크라이나 상황’ 관련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거론한 배경에 대한 질문을 받고 “미국이라든가, 유럽 국가들이라든가, 러시아 등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데 있어서 많은 도움을 줘왔던 국가들”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양한 가능성에 대해 검토를 하고 있지만 군사적 지원이나 파병은 우리하고는 해당이 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외교적인 조치가 중심”이고 “더 많은 외교적인 노력을 기울여서 긴장이 완화되고 평화적으로 해결이 되기를 바라는 입장이고, 그런데 (한국이)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고 밝혔다.
‘러시아에 대한 제재 동참’ 여부에 대해서는 “미국이 일단 러시아에 대한 고강도 수출 통제, 금융 제재 등 계획을 계속 밝혀왔다”면서 “우리로서도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열어놓고 보고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우크라이나 사태를 틈타 북한이 도발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북한의 상황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면밀하게 주시를 하고 있고, 북한 상황에 대해 관심을 많이 갖고 있는 미국이라든지,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 국가들과도 계속 협의를 해오고 있다”고 대답했다.
그는 “우리로서는 북한의 도발 상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고, 특히 북미 간의 대화가 재개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 어떤 상황이 전개될지는 정확하게 알 수가 없지만 최대한으로 대화가 재개되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진전이 되는 상황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체류자가 64명’이라는 보고를 받은 문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체류하는 우리 국민들의 원활한 출국 지원을 위해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유지하고, 안전한 대피와 철수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달라”고 지시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주우크라이나 대사관은 현지 거주 모든 교민들과 매일 연락하고 있으며, 수시로 대피처 안내 등 안전 공지를 하고 있고, 대피용 비상 키트 배낭도 배포하였다”고 밝혔다. 상황 악화 시 육로, 민항기 이동에 어려움이 있을 가능성에 대비하여 다양한 철수 계획을 준비하고 인접국(폴란드)에 임시 체류시설도 확보했다는 것.
이 관계자는 정부의 지속적인 설득에도 불구하고 현지에 계속 체류하기를 희망하는 국민이 있을 수도 있다며, “이에 대비하여 우리 공관은 끝까지 남아서 교민들을 보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