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가 심각한 국면으로 접어든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오전 11시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및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 연석회의’를 주재하고 대응책을 점검했다.
그는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존은 존중되어야 한다”고 전제하면서도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국제사회의 기대와 달리 무력충돌 상황으로 악화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아울러 “사태가 급박하게 전개됨에 따라 이제는 보다 신속하고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대응 태세를 갖추어야 한다”면서 “우크라이나 거주 교민들의 보호와 철수에 만전을 기하고, 관련국들과도 긴밀히 협력해 주기를 바란다”고 지시했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더욱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사태가 장기화되고 미국 등 서방국가들이 러시아에 대해 강도 높은 제재조치를 취하게 되면 우리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에너지, 원자재 등 공급망 차질 또 세계 금융시장 불확실 등”의 영향에 대한 선제적 대응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앞서, 20일 오후 서훈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유관 부처 차관급들이 참석한 NSC 긴급 상황점검회의를 열어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최근 군사적 동향 등을 공유하고 우리 국민과 기업의 안보확보 대책 등을 점검했다.
정부는 지난 16일부터 우크라이나에 인접한 폴란드 지역에 임시사무소를 개설해 교민 대피를 지원하고 있다. 21일 오후 6시 기준 한국인 63명(공관원 및 크림지역 교민 제외)이 우크라이나에 체류 중이다.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에 따르면, 21일(현지시각)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 ‘도네츠크 인민공화국’(DPR)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LPR) 독립을 승인하는 포고령에 서명했다. 통상 ‘돈바스’라 불리는 곳이다.
푸틴 대통령은 또한 DPR 및 LPR 지도자와 만나 ‘우호, 협력 및 상호원조 조약’에 각각 서명했다고 밝혔다.
젠 사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우리는 러시아의 이와 같은 움직임을 예상했으며, 즉각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다”면서 “바이든 대통령이 이른바 DPR과 LPR이라 불리는 우크라이나 지역에 대한 미국인의 투자, 무역, 금융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오늘 러시아의 노골적인 국제약속 위반에 관한 추가 대책들도 곧 발표할 것”이라며, 이들 조치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에 대비해 동맹국 및 우방국들과 준비한 “신속하고 혹독한 경제 조치들과는 별개”라고 했다.
[로이터통신]은 “푸틴 대통령이 21일 우크라이나 동부 2개 지역 독립을 승인하고 그 지역에서 ‘평화유지작전’을 개시하라고 러시아군에 지시했다”며, “위기가 가속화되면서 서방은 대규모 전쟁 촉발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CNN]은 최근 러시아군의 움직임이 우크라이나 침공 개시 징후인지는 불분명하다고 보도했다. 21일 밤 TV연설에서,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는 “고대 러시아 땅”이며, “우크라이나가 국가로서의 전통을 가진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오는 24일 스위스 제네바에서는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이 만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