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깜이’ 사도광산 추도식을 하루 앞두고 결국 우리 정부는 23일 불참을 발표했다.
외교부는 23일 오후 “우리 정부는 추도식 관련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24일 예정된 사도광산 추도식에 불참하기로 결정하였다”고 밝혔다.
이러한 결정을 내린 것은 추도식을 둘러싼 양국 외교당국간 이견 조정에 필요한 시간이 충분치 않아 추도식 이전에 양국이 수용 가능한 합의에 이르기 어렵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7월 27일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된 제46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World Heritage Committee)는 일본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결정했고, 우리 정부는 ‘전체 역사’를 사도광산 ‘현장에’ 반영하라는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의 권고와 세계유산위원회의 결정을 일본이 성실히 이행할 것과 이를 위한 선제적 조치를 취할 것을 전제로 등재 결정에 동의한 바 있다.
이번 추도식은 등재 당시 일본이 약속한 사항의 하나로 일본 민간단체 등으로 구성된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가 주최하며 일본 정부에서는 차관급인 외무성 정무관이 참석할 예정이다.
일본 정부 대표인 이쿠이나 아키코 정무관은 강제동원 피해자와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한국 정부가 더 양보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는가 하면, 2022년 8월 15일 일본 패전일에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바 있어 부적격자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우리 정부는 상응하는 정부 대표와 유가족 11명 등의 참석을 준비해 왔지만 한일 양국 정부간 협의과정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
일본 정부 대표의 추도사는 사도광산에서 일했던 ‘모든 노동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조선인 노동자’는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고, 추도식이 열릴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는 100여 명만 수용 가능한 협소한 곳으로, 기자들의 취재도 제한된 공간이다.
결국 우리 정부는 유가족들의 참석 경비까지 지원하며 동행해 추도식에 참석했다가 오히려 유가족들로부터 항의받고 언론의 뭇매를 맞을 사태를 우려해 불참을 최종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한일 당국간 협의가 진행 중이라고 했지만 추도식 일정을 미리 못 박아 우리측 협상력을 떨어뜨렸다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이견 조정에 필요한 시간이 충분치 않아 추도식 이전에 양국이 수용 가능한 합의에 이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는 정부의 해명이 나온 이유다.
관련기사
- 24일 사도광산 추도제, 참석자 제한·정부대표 미정
- “윤 대통령, 사도광산에 이어 독도까지 내줄 결심?”
- 민족문제연, 정부 겨냥 “‘사도광산’ 외교협상 실패 사죄해야”
- 야-피해자단체, “‘강제동원 배제’ 합의했다면 매국행위”
- 유네스코 세계유산위, ‘日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 야, “이러니 ‘굴욕적 친일정권’ 비판 쏟아지는 것”
- 외교부, 日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찬성’키로
- 외교부, 25일 ‘우리만의 사도광산 추도식’ 발표
- 정부, 사도광산 강제동원 조선인 희생자 독자 추도식 개최
- 한일, 유네스코서 ‘군함도’ 표대결...일본에 밀려
-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돼
- 정부, 올해도 일측 주최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키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