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26일, 일본이 ‘전체 역사(whole history)’를 반영하는 실질적 조치를 취했기 때문에 투표 없이 통과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외교부 관계자는 26일 오전 기자들에게 “어려운 과정 끝에 가까스로 한일 합의가 막판에 다다랐다”며 “앞으로 특별한 일이 일어나지 않는 한 내일 인도 뉴델리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투표 대결 없이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 홈페이지 첫 화면. [갈무리 사진 - 통일뉴스]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 홈페이지 첫 화면. [갈무리 사진 - 통일뉴스]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되고 있는 제46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7.21-31)는 27일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 당국자는 우리가 등재에 동의한 이유로 일본이 ‘전체 역사(whole history)’를 반영하겠다고 약속했고, 이를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이미 취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015년 역시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군함도가 포함된 일본 ‘근대산업시설’ 등재시에는 일본이 전체 역사를 반영하겠다고 약속해 등재에 성공했지만 이후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번에는 일본의 이행 약속만 받은 것이 아니라, 이행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 합의하고 실질적인 조치를 이끌어냈다”고 확인했다.

한편, 민족문제연구소는 25일 사도광산 등재를 결정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21개 위원국에 진상규명 조사를 통해 확인한 사도광산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들의 호소문을 발송했다고 밝혔다.

유족들은 호소문을 통해 “강제노동을 시킨 일본 정부 와 미쓰비시머티리얼은 지금까지 조선인 강제노동의 실태에 대해 진상규명을 위한 노력도 하지 않고 있으며, 당시의 기록도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에 강제 로 동원되어 강제노동의 고통을 당한 우리 아버지들과 같은 조선인 강제노동 의 역사를 제대로 기록해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