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상공에서 ‘무인기’가 포착된 이후 한반도 정세가 급격하게 얼어붙은 가운데, 14일(아래 현지시간) 러시아가 동맹인 북한을 두둔하고 나섰다.
마리아 자하로바 러시아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공식 논평’을 통해 “최근 며칠 간 한반도 정세가 심각하게 긴장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에서 보낸 무인기가 수도 평양을 비롯한 북한 영토에서 전단을 살포했다’는 북한 매체의 보도도 인용했다.
이어 “서울의 이러한 행위는 북한(DPRK)의 주권에 대한 총체적 침해이며 독립 국가의 합법적 정치체계를 파괴하고 자주적 발전권을 박탈하기 위한 내정간섭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규정했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한국은 북한의 경고를 아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하며, 무모한 도발 행동으로 한반도 긴장을 부추기거나 실제 무장(충돌) 사태로 이어질 수 있는 추가적인 긴장 고조를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윤석열 대통령의 ‘통일 독트린’도 비판했다.
“서울이 사이비 자유주의 가치를 강요하고 자유의 확대를 통한 ‘흡수’ 개념을 홍보하는 것은 우선 자국민의 안보에 위협이 됨을 알아야 한다”면서 “안보불가분 원칙에 입각한 정치·외교적 수단만이 지역 내 장기적 평화와 안정을 보장할 수 있다”고 충고했다.
“한국과 ‘손위’ 동맹인 미국의 진정한 목표가 군사적 침략이 아니라면 대안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아울러 “러시아는 ‘북한과의 포괄적 전략동반자 조약’(아래 북·러조약)에 따라 위험한 사태를 막고 상황을 긍정적인 쪽으로 돌리기 위해 한반도에서 건설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러시아 통신사인 [스푸트니크]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14일 연방 하원(국가두마)에 ‘북·러조약 비준안’을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6월 19일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평양에서 서명한 이 문서는 ‘군사동맹 조약’으로 평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