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의 ‘제3자 변제’를 반대해 ‘판결금’ 수령을 거부해 온 강제동원 피해자 4명의 당사자와 유족에게 ‘역사정의를 위한 시민모금’이 12일 각각 1억원씩 4억원을 지급했다.
특히 12일 오후 4시 서울 경복궁 앞 차도에서 열린 ‘광복 78년 8.15 범국민대회’에서 고 정창희 피해자의 유족들이 무대에 올라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측으로부터 직접 1억원을 수령하기도 했다.
60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6월 29일부터 시작한 ‘역사정의를 위한 시민모금’이 시민들의 뜨거운 성원에 힘입어 5억원을 돌파했다”며 “본격적인 시민모금운동을 시작한 지 45일째인 8월 13일 오후 현재 시민모금 모금액은 7,834건에 541,886,174원이다”라고 밝혔다.
모금 건수는 단체나 노동조합, 모임 등 다수가 참여한 경우도 1건으로 처리되어, 실제 참여자 수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12일 역사정의 시민모금 1차분 총 4억원을 피해자 및 유족들에게 송금 완료했다며 내역을 공개했다.
- 생존자 2명(이춘식, 양금덕) 각 1억원
- 고 박해옥 할머니 유족 4명에 각 2천500만원씩 1억원
- 고 정창희 유족을 대표해 정00님께 1억원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역사정의 시민모금을 시작한 지 불과 40여일 만에 목표액의 절반인 5억원을 넘긴 것은 가해자의 배상 책임을 면해주는 정부가 추진하는 제3자 변제에 대한 국민들의 강한 거부감을 드러낸 것이자, 윤석열 정부의 굴욕 외교에 대한 준엄한 심판의 결과”라고 자평했다.
한편, 6월 29일 시민모금 운동이 전개되자 외교부는 7월 3일 갑작스럽게 일제강제동원지원재단으로부터 ‘제3자 변제’ 수령을 거부한 4명의 피해자와 유족을 포함해 ‘공탁 절차’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막상 정부가 신청한 ‘공탁’은 일선 지방법원에서 ‘불수리’ 처분됐고 정부는 이에 대한 법적 대응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많은 국민들의 관심과 높은 참여로 이번 78주년 광복절 이전에 피해자 2명과 고인이 되신 2명의 유족들에게 작은 용기와 위로를 전할수 있게 된 것에 대해 머리 숙여 감사드린다”면서 “용기있는 싸움을 하고 계신 피해자 및 유족들과 함께 일본의 사죄와 배상을 위해 좌고우면하지 않고 끝까지 싸워 갈 것은 다짐한다”고 결의를 다졌다.
역사정의 시민모금 목표액은 10억원이며, 이번 1차분 모금액 전달 이후에도 모금운동은 계속 진행된다.
[역사정의 시민모금 계좌]
농협 301-0331-2604-51 사단법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해외 페이팔 paypal.me/v1945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