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6명이 지난 6일 윤석열정부가 발표한 ‘일제 강제징용 배상판결 해법’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갤럽]은 지난 8~9일 전국 유권자 1,002명에게 정부 방안에 대해 물은 결과 ‘한일 관계와 국익 위해 찬성’ 35%, ‘일본의 사과와 배상 없어 반대’ 59%였다고 밝혔다. 6%는 의견을 유보했다.
영남권과 60대 이상을 제외한 전 지역과 연령대에서 ‘반대’가 압도했다.
[한국갤럽]은 또한 ‘일본 가해 기업들이 청년 등 미래세대 지원단체에 기부금을 낸다면 배상한 것으로 볼 것인지’ 물은 결과 27%가 ‘그렇다’, 64%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고 알렸다. 9%는 의견을 유보했다.
일본 전범기업들이 피해자들에게 직접 배상하지 않고, 한국 전경련과 일본 ‘게이단렌’이 ‘미래청년기금’을 조성해 공동 운영하는 방안에 대해 절대 다수가 부정적이라는 뜻이다.
한일관계와 관련 ‘우리가 일부 양보하더라도 가능한 한 빨리 개선해야 한다’ 31%, ‘일본의 태도 변화가 없다면 서둘러 개선할 필요 없다’ 64%로 나타났다. 일본 정부의 과거사 인식에 대해 ‘반성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5%에 불과했다.
[한국갤럽]에 따르면, 3월 둘째 주(8~9일) 직무수행 긍정평가는 34%, 부정평가는 58%였다. 그 외는 의견을 유보했다. 윤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와 강제징용해법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가 대체로 일치한다.
무선(95%)·유선(5%) 전화인터뷰 방식으로 실시된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3.1%p(95% 신뢰수준), 응답률은 9.5%(총 통화 10,587명 중 1,002명 응답 완료)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갤럽] 홈페이지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