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토학살 100주기 추도사업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13일 서울 종로5가 기독교회관 조에홀에서 '간토학살피해자 추가명단과 한일시민 100주기 추도사업'을 주제로 모임을 갖고 간토학살의 진상규명을 위한 올해 활동 계획을 발표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간토학살 100주기 추도사업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13일 서울 종로5가 기독교회관 조에홀에서 '간토학살피해자 추가명단과 한일시민 100주기 추도사업'을 주제로 모임을 갖고 간토학살의 진상규명을 위한 올해 활동 계획을 발표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100년 전 9월 일본 도쿄와 간토(關東, 관동) 남부를 휩쓴 간토대지진은 숱한 피해를 남겼지만 무엇보다 6천여명에서 2만여명에 달하는 무고한 재일 조선인들의 학살 상흔으로 뚜렷이 남아있다.

'간토학살 100주기 추도사업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13일 서울 종로5가 기독교회관 조에홀에서 '간토학살피해자 추가명단과 한일시민 100주기 추도사업'을 주제로 모임을 갖고 간토학살의 진상규명을 위한 올해 활동 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모임에서는 간토대지진 당시 조선인 희생자 408명의 추가명단이 발표됐다.

1923제노사이드연구소 성주현 박사는 당시 신문, 자료집, 증언집, 보고서, 회고록 등 문헌자료 검토와 도쿄도, 군마현, 사이타마현, 가나가와현, 지바현 등에 산재해 있는 추도시설 답사(296명), 주일한국대사관에서 발견된 '일본 진재(지진)시 피살자 명부' 분석(205명)을 통해 중복자를 제외한 408명의 희생자 명부를 최종 확인했다고 밝혔다.

조선인 학살의 전체 규모도 자료에 따라 다르고 진상규명을 극도로 꺼리는 일본 당국의 태도로 인해 추가조사도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제한된 문헌과 현장 답사 등을 통해 구체적인 명부를 확인한 것은 한일 역사정의를 세우려는 민간의 끈질긴 노력끝에 이룩한 작은 성과라 할 만하다.

1923제노사이드연구소 성주현 박사는 간토대지진 당시 조선인 희생자 408명의 추가명단을 발표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1923제노사이드연구소 성주현 박사는 간토대지진 당시 조선인 희생자 408명의 추가명단을 발표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조선인 학살 피해규모는 상해임시정부 기관지인 독립신문에서 조사 발표한 6,661명이 널리 인정되고 있지만, 작게는 일본사법성이 230명으로 기록한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국가책임과 민중책임'부터 1923년 9월 1일부터 8일까지 일본에 체류중이던 독일인 브르크하르트 박사(Dr. Otto Bruchhardt)가 그해 10월 9일 보쉬체 신문(Vossische Zeitung)에 기고한 '한인에 대한 일본의 대량학살'을 인용해 '횡빈'(橫浜, 요코하마)에서만 1만5천명, 참살당한 전체 조선인은 2만여명까지 산정된다는 기사까지 진상이 확인되지 않은 많은 기록이 남아있다.

성주현 박사는 △주일 한국대사관에서 발견된 일본진재시 피살자 명부(1952년 12월~1953년 1월 중 작성) △재일 연구자인 강덕상·금병동의 '현대사자료6'(1963년 출판 자료집) △국내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기사(1923.9~1924.10) △재일 총련 발행 자료집 '관동대진재 조선인학살 진상과 실태'(1963) △'감추어진 역사-관동대진재와 사이타마 조선인학살사건'(1983년) △ 관동대지진 당시 YMCA 총무였던 최승만의 회고록 '극웅필경(極熊筆耕), 1970년 간행 △도쿄시발행 보고서 '동경진재록'(1926) △요코하마시역소 발행 보고서 '횡빈시진재지(1926) △일본 신문(동경일일신문, 報知新聞, 법률신문) 등의 문헌을 조사했다고 소개했다.

또 △도쿄도 재일한인역사사료관, 호센카(봉선화), 위령당 △군마현 구라가노(倉賀野) 구본지(九品寺), 후지오카(藤岡) 조도지(成道寺)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천종산 도린지(東林寺), 호쇼사(寶生寺) △사이타마현 구학영 위령비, 강대흥 위령비 등을 현장조사했다.

성 박사는 당시 국내 기사에서 영국노동당이 간토대지진 조선인학살사건에 대해 항의하는 선언서를 발표하고 톰킨스 박사가 미국 국무성에 항의서를 제출했다는 내용은 확인했지만 해당 국가에 남아있을 관련 자료를 추적하지 못한 것은 남아있는 과제라고 말했다.

특히 일본 정부는 국가책임을 부정하면서 당시 조선인 학살은 유언비어를 믿은 일본 국민의 탓으로 돌리고 있어, 100주기를 맞는 올해 진상조사를 위한 한국정부의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종수 추진위 집행위원장은 간토대학살 진상규명과 피해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비롯한 올해 주요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김종수 추진위 집행위원장은 간토대학살 진상규명과 피해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비롯한 올해 주요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추진위 집행위원장인 김종수 1923한일재일시민연대 대표는 △간토대학살 진상규명과 피해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정 △한일 시민들의 참여로 건립되는 간토학살 피해자 추도공간 조성 △100주기 한국 추도식 공동주최 및 일본지역 추도식 참석 △100주기 국제학술회의 △간토 역사 상설전시 및 역사 대중화 사업 등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개신교쪽에서 시작한 간토학살피해자 추도조형물을 올해 9월 개막하고, 간토학살이 시작된 9월 1일부터 집중적으로 학살이 자행된 7일까지를 추도기간으로 선포할 예정이다.

국제학술회의는 국사편찬위원회, 동북아역사재단, 독립기념관이 공동주최하고 추진위가 주관하는 형식으로 8월 30일 개최하며, 일본에서는 '간토학살의 국가책임을 추궁한다'는 주제로 9월 2일 오후 2시 도쿄 연합회관에서 학술회의를 준비중이라고 알렸다.

이밖에 △간토 학살현장을 찾아가는 정기 역사기행 △간토학살 역사에 대한 미디어교재 제작 △간토학살 영화 지역상영 △간토학살사료의 한국어 번역을 위한 매주 학습모임 △각 위원회 일상사업을 알리는 온라인 매체(https://www.1923news.com) 운영을 계획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유기홍 국회의원은 "오늘 추가로 발표되는 408분 희생자 명단은 특별법 제정을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시민사회의 노력으로 진실을 향해 나아가고 있지만 간토학살에 대한 완전한 진상규명과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은 대한민국 국회가 특별법을 만들어서 법 절차에 따라 정부가 이루는 것이 맞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추진위는 '간토학살 100주기, 국가책임을 회피하지 말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해 △일본 정부는 간토대지진 당시 유포된 유언비어를 사실화해 계엄령을 발포한 책임을 회피하지 말 것 △국회는 간토학살 진상규명과 학살피해자의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을 반드시 제정할 것을 촉구하고 △한일시민은 일본과 한국에서 펼쳐질 간토학살 100주기 추도사업에 연대하고 한일의 궁극적 평화를 위해 세계 민주시민들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