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는 가운데, 외교부는 여행경보 3단계인 출국권고 지역을 확대한데 이어 28일 장관 주재로 ‘우크라이나 및 주변 7개국 화상회의’를 개최해 대사관 현장지휘본부에 추가로 3명을 긴급 파견하기로 했다.
외교부는 28일 보도자료를 통해 “정의용 외교부장관은 1월 28일 우크라이나 및 주변 7개국(러시아, 벨라루스, 폴란드, 슬로바키아, 헝가리, 루마니아, EU) 공관장들과의 화상회의를 주재하고, 우크라이나 관련 정세 및 우리 재외국민 보호대책 등을 점검했다”고 전했다.
정의용 장관은 화상회의에서 현재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긴장해소를 위해 외교적 해법이 모색되고 있으나 상황 악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제하고 ‘최우선 과제인 재외국민과 우리기업의 안전 확보를 위해 모든 외교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외교부는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비하여 우크라이나와 접경국가 소재 우리공관 간 협조체계 구축에 대해서도 심도있게 논의”했다면서 “대사관 현장지휘본부에 본부 및 인근공관 직원 3명을 긴급 파견하여 재외국민 안전을 위한 준비태세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앞으로도 현지 공관을 통해 우크라이나 잔류 우리 국민에 대한 일일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출국권고를 지속하는 한편, 긴급 상황에 적시에 대응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조체계를 유지하고, 주요 우방국과의 정보공유 및 공조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후속조치로 △수도 키예프, 서부 르비브, 남부 오데사 등 주요 도시에 유사시에 대비한 집결지 지정(비상식량과 구호물품 비치 등), △통신망 두절 상황 대비 위성전화 지원, △유사시 우리국민 비상대피를 위한 인근국과의 협력체계 가동 등을 언급했다.
주우크라이나대사관은 재외국민들이 신속히 안전지역으로 출국할 수 있도록, △이용 가능한 교통편 정보, △육로 이동시 이용가능한 출국 검문소 현황 등 관련 정보를 공관 홈페이지(http://overseas.mofa.go.kr/ua-ko/index.do)에 게재하고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수시로 교민 및 기업 안전간담회를 개최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지난 25일 우크라이나 15개 주·지역으로 3단계 여행경보 확대를 발령할 당시 565명이던 재외국민 수는 124명이 감소해 29일 현재 441명으로 집계됐다. “상황의 가변성 등을 감안하여 교민과 주재원 가족 등이 한국 또는 제3국으로 출국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라는 풀이다.
외교부는 현재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를 비롯한 6개 도시 7개 공항에서는 주당 890여편의 국제선이 정상 운영되고 있다며 “현지 우리국민들께서는 가급적 빠른 시일내에 동 항공편 등을 이용하여 안전한 지역으로 출국하여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반드시 방문사실과 연락처를 현지 공관에 공유하여 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