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는 우크라이나 남동북부 12개 주(州)에 거주하는 우리 국민들에게 출국을 권고하는 등 안전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외교부는 26일 “최근 우크라이나 상황 관련, 외교부는 1월 25일 주우크라이나대사관과의 긴급 화상회의 및 유관부서간 협의를 거쳐, 우리국민 안전대책 강화 방안의 일환으로 우크라이나 남동북부 12개 주에 대한 여행경보를 3단계(출국권고)로 1월 25일 상향 조정하기로 결정하였다”고 밝혔다.
여행경보 3단계는 적색경보로 불리며, ‘출국권고’ 조치다. 여행예정자는 여행을 취소‧연기하고 현지 체류자는 긴요 용무가 아닌 한 출국해야 한다. 참고로 1단계 남색경보는 여행유의, 2단계 황색경보는 여행자제, 4단계 흑생경보는 여행금지에 해당한다.
사태가 가장 심각한 크림, 돈바스(루간스크, 도네츠크) 3개 주는 이미 적색경보가 발령 중이어서 이날 조치로 우크라이나 25개 지역‧주 가운데 15개 주가 출국권고 지역이 됐다. 15개 주는 크림, 루간스크, 도네츠크, 볼린, 리브네, 지또미르, 키예프, 체르니힙, 수미, 하리키브, 드니프로 페트롭스크, 자포로시아, 헤르손, 오데사, 미콜라이브이다. 나머지 10개 지역‧주는 2단계 황색경보 ‘여행자제’ 조치가 발령 중이다.
외교부는 “여타 주에 체류중인 우리국민(주재원 및 교민 가족 등 비필수 인력)들께서도 우크라이나 상황의 가변성 등을 감안하여 안전한 지역으로 출국할 것을 권고한다”며 “우크라이나 내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필요시 우크라이나 전역에 대한 여행경보 3단계 격상(출국권고) 발령을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현지에는 공관원과 기업인, 선교사, 유학생, 자영업자 등 565명의 재외국민들이 체류하고 있으며, 대다수가 수도 키예프 인근 지역에 거주 중이다. 또한 삼성전자, LG전자, 포스코, 현대로템 등 우리기업 13개도 진출해 있다.
외교부는 “주우크라이나대사관은 그간 주재국내 거주중인 재외국민에게 연락을 취해 안전상황을 확인하고 비상연락망을 재점검해 왔다”며 “주요국 대사관과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식수와 비상식량 등을 확보하는 한편, 유사시에 대비하여 재외국민 대피 및 지원계획도 현행화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유관부처와도 긴밀히 협조하여 우리 진출기업과 재외국민 보호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하면서, 주요국과의 정보공유 및 공조방안도 모색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청와대는 NSC(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와 실무조정회의에서 대책을 논의해 왔으며, 25일 서훈 안보실장 주재로 NSC 실무조정회의를 열어 “상황의 시급성과 중대성을 평가하고 우리 국민 안전대책 점검”을 진행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6일 서면브리핑을 통해 NSC가 “우리 경제와 동북아 정세에 미칠 파급 영향에 대해 점검하고 대책을 논의해 왔다”며 “외교부와 국정원도 이미 한 달여 전부터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해 면밀히 상황을 평가하고, 실제 군사적 충돌 가능성에 대비하여 우리 국민의 안전대책을 세워 왔다”고 전하고 “외교부, 국방부, 국정원은 미국과 이 문제에 대해 심도있게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인근으로 대규모 병력을 증강시킨 가운데 미국은 자국민 출국을 권고하고 동유럽 파병 준비명령을 내렸다. 나아가 조 바이든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기자들에게 푸틴 대통령을 포함한 경제제재를 검토하겠다고 언급해 파문은 확산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