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동포 민족사학자 강덕상(姜德相) 시가현립대학교 명예교수가 향년 90세를 일기로 12일 타계했다. 사진은 2013년 6월 20일 서울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교육원에서 열린 간토학습회에서 발표에 나선 고인. [자료사진 - 통일뉴스]
재일동포 민족사학자 강덕상(姜德相) 시가현립대학교 명예교수가 향년 90세를 일기로 12일 타계했다. 사진은 2013년 6월 20일 서울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교육원에서 열린 간토학습회에서 발표에 나선 고인. [자료사진 - 통일뉴스]

재일동포 민족사학자 강덕상(姜德相) 시가현립대학교 명예교수가 12일 오전 9시30분께 일본 도쿄 요요기병원에서 타계했다. 향년 90세. 유족으로 부인 문양자 씨와 1남2녀가 있다.

고인은 조선독립운동사를 천착했으며, 특히 간토(關東)대지진 당시 조선인 집단학살을 세상에 알려 일본 교과서에 실리게된 계기를 만들었다. 우리 국회에서도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을 위한 심포지움에 발표자로 나서기도 했다.

경남 함양에서 일제시기인 1931년(호적 1932년) 태어난 고인은 부모님을 따라 1934년 일본 도쿄로 이주했고, 와세다대 사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한 뒤 메이지대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동양사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이후 1989년 히토쓰바시대 사회학부 교수가 돼 ‘재일동포 1호 일본 국립대 교수’로 기록됐고, 1995년 정년퇴직 후 시가현립대 교수를 거쳐 명예교수가 됐다. 2005년 민단 산하 재일한인역사자료관 초대 관장으로 취임, 2017년 이임했다.

3.1운동과 여운형,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 등을 연구했고, 일본어로 많은 저서를 남겼고 다수가 국내에 번역, 소개되기도 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간토대지진(일본어·1975)’, ‘조선독립운동의 군상-계몽운동에서 3·1운동으로(일본어·1984)’, ‘간토대지진·학살의 기억(일본어·2003, 국역본 ‘학살의 기억, 관동대지진’·2005)’, ‘여운형평전1 조선3·1독립운동(일본어·2002)’, ‘여운형평전2 상하이임시정부(일본어·2005)’ 등이 있다. 지난 4월 일본에서 고인의 평전인 ‘시무(時務)의 연구자 강덕상 - 재일교포로서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생각한다’가 발간됐다.

 간토학살 90주기인 2013년 6월 19일 국회에서 열린 진상규명 토론회에 고인이 참석해 발표했다. 당시 참석한 국회의원들은 특별법 제정 추진을 다짐했지만 아직까지 진전이 없는 상태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간토학살 90주기인 2013년 6월 19일 국회에서 열린 진상규명 토론회에 고인이 참석해 발표했다. 당시 참석한 국회의원들은 특별법 제정 추진을 다짐했지만 아직까지 진전이 없는 상태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고인과 함께 간토대지진 조선인 민간학살 진상규명을 위해 힘써온 1923한일재일시민연대 상임대표 김종수 목사는 “악성 림프종 지병이 있으셨고, 일주일 후에 퇴원할 예정이라고 들었는데 갑자기 안 좋아지셨다”며 “코로나19로 인해 장례 일정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김종수 목사는 “2007년 국회에서 처음 이 사건을 다룰 때를 시작으로 몇 차례 방한했고, 당시는 특별법 제정 분위기가 좋았다”며 “굉장히 기분이 좋으셔서 ‘나에게도 조국이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씀하셔서 주변이 모두 울컥했던 적도 있다”고 회고했다.

특히 “간토대지진 100년에는 뭔가 뜻있는 일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허망하게 가셔서 가슴이 먹먹한 상태”라며 안타까워했다.

간토학살은 1923년 9월 1일 일본 도쿄 등 간토 지역에 대지진이 발생해 막대한 인명피해가 나자 일본 정부가 민심의 동요를 막기 위해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타고 약탈을 한다’는 등의 유언비어를 퍼트리고 계엄령을 선포, 조선인 6천여 명 이상을 집단 학살한 사건으로 오는 2023년 100주기를 맞지만 아직 진상규명 조차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다.

고인은 2013년 6월 20일 서울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교육원에서 ‘1923한일재일시민연대’가 주최하고 ‘간토제노사이드희생자 90주기 추도행사 준비위원회’가 주관한 간토학습회에 발표자로 참석해 이 사건은 한일 간의 민족대결, 적대관계가 1994년 청일전쟁으로부터 1919년 3.1운동까지 이어졌고 1923년 간토 조선인학살로 나타났으며,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하고 “침략과 저항이 낳은 민족대결의 산물”이라고 규정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