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북한이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한 것과 관련, 30일(현지시각)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이하 안보리)가 비공개 회의를 진행했으나 성명을 채택하지 못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외교관들’은 이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15개 이사국 모두가 북한 핵 프로그램 관련 대화와 협상을 촉구했으나 성명 채택 필요성엔 동의하지 않았다고 알렸다. 

안보리 회의에 앞서,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 주재 미국대사는 북한의 발사에 맞서 유엔 차원의 “추가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눈길을 끈 바 있다. 지난 26일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는 전문가패널에 북한의 발사에 대한 조사와 보고를 요구했다.

<AP통신>에 따르면, 30일 회의에서 중국과 러시아는 2019년 12월에 제안했던 ‘결의 초안’을 거론했다. 이 초안은 ‘주민들의 민생 증대를 위해 북한산 섬유, 수산물 수입 금지와 북한 노동자의 해외 취업 금지를 해제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날 기자들과 만난 드미트리 폴랸스키 유엔 주재 러시아 부대사는 북한의 발사 관련해 “아직 평가의 시간”이라고 말했다. 반면, 니콜라 드 리비에레 유엔 주재 프랑스 대사는 “나는 북한의 최근 탄도미사일 발사가 안보리 결의 위반임을 상기시켰다”면서 “북한의 미사일과 핵 프로그램 개발은 국제 평화와 안보에 큰 위협”이라고 주장했다.

이 통신은 “과거에 북한이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면 통상 유엔 안보리가 비난했으나 새로운 제재를 가하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