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THAAD) 비용 10억 달러를 한국이 내라”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발언을 둘러싸고 한.미 안보 수장이 봉합을 시도했으나 해명이 엇갈리면서 오히려 논란이 확대되는 양상이다. 

지난달 30일 김관진 청와대 안보실장과 허버트 맥마스터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통화 직후 청와대는 보도자료를 통해 ‘우리 정부가 부지·기반시설 등을 제공하고, 사드 체계의 전개 및 운영·유지 비용은 미국이 부담한다’는 “기존 합의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반면, 맥마스터 보좌관은 30일(현지시간) ‘폭스 뉴스 선데이’와의 인터뷰에서 ‘한국 측 발표’ 관련 질문을 받고 “내가 가장 하기 싫은 것은 미국 대통령의 말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내가 한국 측 카운터파트에게 말한 것은 어떠한 재협상 전까지는 그 협정이 유효하고 우리가 약속을 지킬 것이라는 점”이라고 주장했다. 

맥마스터 보좌관은 “그것은 그런 게 아니었다”고 한국 측의 발표를 거듭 부인했다. “대통령이 우리에게 지시한 것은 동맹과의 모든 협상을 검토하여 적절하게 책임을 분담하라는 것이었다”면서 “우리는 동맹인 한국, NATO(북대서양조약기구)와의 협상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오바마 전 행정부에서 체결된 한.미 간 합의가 어떠하든 트럼프 행정부가 사드 비용 관련 재협상을 예고한 셈이다. 

김관진-맥마스터 통화 관련 청와대의 발표가 한국 측에 불리한 내용을 빠뜨린 사실상의 거짓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나아가 미국의 정권 교체에도 불구하고 사드 배치를 강행하여 한국에 천문학적 부담을 초래한 김관진 실장 등에 대한 책임 추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일 청와대는 “김관진 국가안보실장-맥마스터 미 국가안보좌관 간 통화 관련 어제(4.30) 발표한 내용에 추가로 언급할 사항은 없다”면서 “맥마스터 보좌관이 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언급한 내용은 한.미 간의 기존 합의가 유효하다는 것을 재확인한 것으로 본다”고 강변했다.

한편, 마이크 폼페오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이 지난달 29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직후 비공개 방한해 마크 내퍼 주한 미 대사 대리와 빈센트 브룩스 주한미군사령관 등을 만났다고 <국민일보>가 1일 보도했다.

(추가, 10:27)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