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후 서울 강남구 대치동 섬유센터 17층에서 열린 비공개 긴급간담회에 참석한 40여 명의 관계자들은 2시간여 협의 끝에 공동으로 대책을 마련하기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
회의에 참석한 한 업체 대표는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공통적으로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은 24일 제재 발표가 나기 이전에 기 반출된 자재에 대해서 기업들의 재산이기 때문에 평양에서 빨리 가지고 와야 되지 않겠느냐는 의견이 나왔고, 그런 부분에 있어서 정부에 요청할 수 있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하는 얘기들이 나왔다"며 "논의된 부분에 대해서 다음에 얘기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회사의 존폐 위기가 걸려있고 지금 내일을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자리가 만들어졌기 때문에 회의 분위기는 밝지 않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다른 관계자도 "지금 어떤 방법도 없다. 정부에서 (반입신청을) 반려를 하게 되면 회사 매출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부도의 위기에 처하게 된다"며 하소연했다.
이들 업체들은 남북교역을 중단한 지난 24일 대북조치 이후 북한으로부터 완제품 반입이 전면 불허됨에 따라 납기 지연에 따른 주문 취소, 거래선 상실, 자금 압박 등으로 경영상 큰 어려움을 겪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전 통일부는 대북 제재조치 이후 북한에서 위탁 가공된 물품 일부를 반입 승인하고 사안별로 반입을 허용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라, 위탁가공 업체들의 대북 제재조치 이전에 반출된 자재와 완제품에 대한 반입 요구는 빠른 시일 내에 공식화돼 정부에 전달될 것으로 보인다. 회의에 참석한 한 업체 관계자는 "앞으로 한, 두 차례 회의를 더 열고 구체적인 대책을 확정 지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개성공단기업협의회도 3일 서울 여의도의 한 호텔에서 임시총회를 열고 정부에 대책 마련을 촉구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고성진 기자
kolong81@tongil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