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개성공단 설비 반출을 원칙적으로 불허한다는 북측의 통보에 대해 개성공단 입주업체들은 북측이 공단을 계속해서 운영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확인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오후 업체 관계자들은 <통일뉴스>와 전화통화에서 최근 북측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에서 "문 닫을 일 없으니까 열심히 생산해 달라", "왜 설비를 빼냐, 여기서 해야지"라며 생산 활동의 안정적 보장을 담보하는 말들을 여러 차례 언급했다며 "이런 방침은 북측이 현 상황에서 공단 문을 닫고 싶지 않다는 의지를 강하게 보인 것"이라고 해석했다.

섬유업체의 한 관계자는 "북측이 설비 반출을 완전히 막은 게 아니라 수리 사유가 있으면 반출이 가능하다는 항목 등을 살펴볼 때 우리 자산을 동결 차원에서 못 나가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는 문 닫을 이유가 없다, 폐쇄될 경우 남측 책임'이라는 차원에서 통보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외부의 억측을 경계하면서 "외부에서 볼 때 자칫 기업들의 자산을 묶어놓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저뿐만 아니라 여기 기업 대부분이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 있다"며 "실제로 총국과 북측 근로자들은 생활전선에서 수익을 얻기를 원하고 있으며, 개성공단 폐쇄를 우려하고 있다"고 북측의 분위기를 전했다.

북측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관계자가 지난 30일 구두 통지문에서 "향후 개성공단이 폐쇄될 경우 남측의 책임이며 북측은 개성공업지구 건설을 위한 노력은 계속해 나간다"고 밝힌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는 판단이다.

또 정부의 대북 조치로 남북 간 교역이나 물자 반출입이 중단됨에 따라 일자리를 잃게 된 북측 개성시내의 근로자들이 공단으로 몰릴 가능성도 있다고 이 관계자는 예상했다.

그는 "앞으로 공단 내에 인원이 더 들어오지 않을까 싶다"며 "입주 기업들이 개성 시내 임가공 업체에게 주는 일감들을 정부에서 중지시켰기 때문에, 개성 시내에서 할 일을 잃은 근로자 3천여 명 정도가 개성공단으로 흡수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이전부터 공단의 설비 등을 반출입할 때는 북측 세관(세무소)의 승인을 받아 이뤄졌다. 북측의 통보에서 문제될 부분은 거의 없다"며 "공단 입주 기업들이 힘드니까, 북측에서 이 부분을 의식하고 공단을 끌고 나가기 위해서 내놓은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다만 "이전에는 신고하는 대로 다 받아줬는데 북측 세관의 반출.입 절차가 이전보다는 까다로워질 수는 있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한편 통일부 당국자는 "5.24 대북조치 이후 개성공단에 대해 뚜렷한 경향성은 없지만 북측 근로자들이 과거보다 좀 더 진지하고 열심히 일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며 "북측 근로자들을 총괄지도하는 남측 법인장들은 북측 근로자들이 개성공단이 계속되길 원하기 때문이 아닌가라고 판단하고 있더라"라고 전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