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오전 0시 55분 개성공단에 자리잡은 남북경협협의사무소 남측 당국인원 11명이 북측의 요청으로 철수했다.

이날 통일부 대변인과 남북교류협력국장의 브리핑과 고위 관계자의 발언을 토대로 그 과정을 재정리해 본다.

○ 리인호 북측 소장이 김웅희 남측 소장에게 구두로 요청

남북경협협의사무소 남측 당국 인원의 3일내 철수 요청은 지난 24일 오전 10시 북측 리인호 소장이 남측 김웅희 소장에게 구두로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남북경협협의사무소는 개성공단 내에 자체 건물을 갖고 있으며, 2층은 남측, 4층은 북측이 이용하고 있다. 사실상 한 건물에서 상시적으로 함께 사업을 하는 구조이다.

이같은 요청을 받은 남측 관계자들은 “처음에는 쉽게 생각했다”고 한다. 신임 김웅희 소장은 부임한 지 1주일 정도 밖에 안됐지만 남북회담 베테랑으로 북측과 많은 협상을 해본 경험이 있었다. “별다른 의미가 없을 것 같아서 무시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 북측, 27일 오후부터 본격 압박

26일 오전 통일부의 대통령 업무보고 때에도 이 문제는 전혀 논의조차 되지 않았다. 그때까지 문제의 심각성이 감지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북측이 제시한 3일이 지난 26일 오후부터 본격적인 북측의 압박이 시작됐다.
북측 리인호 소장은 개인 사정으로 평양에 주로 있고, 부소장을 비롯한 북측 직원들이 남측 당국 인원들의 철수를 거듭 요청한 것이다.

“오후에 압박하다가 약간 소강상태였다가, 밤이 돼서 다시 압박했다”. 물론 그 방식은 남측 사무실로 찾아와 나가달라는 “정중하고 예의바른” 것이었다.

○ 남측 경협사무소 자체 회의 끝에 철수

26일 늦은 오후가 되면서 적어도 이날 중으로는 특별한 상황이 발생할 것 같지 않아 통일부 장관은 퇴근하고 차관과 국장 등이 대기상태에 들어갔다.

그러나 “밤 12시가 넘어가면서 분위기가 이상해졌다”. 결국 “김웅희 소장이 직원들과 회의를 하고 결정했다”. “더 이상 남아있어 봐야 본연의 업무 수행에도 문제가 있어” 철수키로 한 것이다.

남측 당국자 11명은 27일 오전 1시 25분경 MDL(군사분계선)을 넘어 철수했다. 대기 중이던 차관은 장관에게 이같은 사실을 보고했다.

고위 관계자는 “청와대나 (통일부)본부가 철수를 결정한 건 아니다”고 말했다.

통일부는 27일 오전 10시 대변인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은 사실을 알리고 “깊은 유감”을 표하고 “조속히 정상화 시킬 것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