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성섭 기자 = 18일 경의선.동해선 동시 착공전에  마무리돼야할 동해선 비무장지대(DMZ) 공사 관할권 이양에 관한 주한 유엔사-북한 인민군 회담과 군사보장조치를 위한 남북군사실무회담이 착공 1주일 전인 11일까지도 진전이 없어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회담이 진전이 없자 일각에서는 유엔사를 주도하는 미군측이 소극적으로 임하는 등 성의를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 27-30일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에서 18일 동시 착공과 이전 군사보장조치 해결에 합의한 이후 유엔사와 인민군은 지난 4,5일  판문점에서  비서장(대령)급 회담과 참모(중령)급 회담을 잇따라 열어 논의를 시작했다.

그러나 남북의 기존 합의에 따라 모든 군사보장조치가 마무리돼야 할  11일까지 후속 회담이 개최되지 않는 등 답보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당초 유엔사와 국방부는 이번주 초까지 유엔사-인민군 장성급 회담이  마무리될 전망이라면서 군사실무회담의 11일 시한은 양측 합의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남북간 합의를 위해서는 실무회담이 4차례 열려야 하는 상황에서 11일까지 실무회담의 전 단계인 장성급 회담조차 열리지 못하는 상황이다.

유엔사와 주한미군측은 회담 논의 사항을 본국에 보고하고 결재를 받아야  하는 행정적인 절차 때문에 일정이 늦어지고 있다면서 18일 전까지 모든 일정이 차질없이 소화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주한미군이 북측과 합의하려면 본국 합참의장과 국방장관의 결재를  받아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유엔사와 인민군이 지난 2000년 11월 17일 경의선 군사보장합의서를 채택했기 때문에 이번에는 이에 준하는 동해선 합의서만 서명 교환하면 되는데도 성의가 부족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미국 정부가 9.11 테러 1주년을 맞은데다 이라크 공격까지 임박한 바쁜  상황이라서 일정이 지체된다는 해명이 나오긴 하지만 한반도 문제의 중요성에 비춰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게다가 이번 회담에 북측이 오히려 더 적극적이라는 이야기도 나돌고 있다.

정부는 이번 일로 한.미 공조관계에 이상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지 않을까  부심하면서 여중생 궤도차랑 압사 사고로 증폭된 반미 감정에 또 다른 악재로 작용할 지도 모른다고 우려하는 분위기다.

이에따라 시간이 촉박한 만큼 앞으로 남아있는 유엔사-인민군 장성급  회담  뒤 남북 군사실무회담을 여는 절차 대신 두 회담을 병행 추진하자고  북측에  제안키로 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