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브리핑하는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 [사진 갈무리-ebrief]
28일 브리핑하는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 [사진 갈무리-ebrief]

“이번 담화는 북한당국이 이재명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합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 부부장이 28일 담화를 통해 “우리는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으며 한국과 마주앉을 일도, 론의할 문제도 없다는 공식 립장”을 확인한 가운데,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이 “새 정부에 대한 북한의 첫 번째 공식 반응”이라며 이같이 정부의 ‘입장’을 밝혔다.  

이어 “지난 몇 년간의 적대 대결 정책으로 인해 남북 간 불신의 벽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면서 “정부는 북한의 반응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화해와 협력의 남북관계를 만들고 한반도 평화 공존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차분히 일관하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 부부장이 새 정부의 대북 확성기 방송 선제적 중단에 대해 평가받을 만한 일이 못 된다고 일축하고 통일부 정상화를 흡수통일 망령이라고 비난한 것’과 관련해서는 “공식적으로 평가하지는 않겠다”고 대답했다.

다만 “특별하게 적대적이거나 조롱하는 표현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노동신문에도 (담화를) 보도하지 않았는데 이것은 북한 주민들에게는 공개하지 않았다는 의미”이나 “북한의 의도에 대해서 평가하지는 않겠다”고 거듭 말을 아꼈다.

구 대변인은 “우리 판문점에 있는 남북연락사무소 채널을 통해서 매일 아침과 저녁에 연락 채널을 확인하고 있다”며 “북한의 호응은 없었던 것으로 확인하고 있다”고 알렸다. 

대통령실도 “정부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북 고위 당국자의 첫 대남 담화를 통해 표명된 북측 입장에 대해 유의하고 있다”면서 “오랫동안 적대·대결 정책으로 인해 남북간 불신의 벽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싸울 필요가 없는 상태인 평화 정착은 이재명 정부의 확고한 철학”이라며 “정부는 적대와 핵위협, 전쟁 없는 한반도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일관되게 취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행동’의 구체적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에 따르면, 이날 오전 ‘임명장 수여식’ 계기에 정동영 통일부 장관을 만난 이재명 대통령이 ‘김여정 담화’에 대한 의견을 물으면서 “평화적인 분위기 안에서 남북한의 신뢰 회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정동영 장관은 “지난 몇 년간의 적대적인 정책으로 인해 남북 간 불신의 벽이 높은 만큼 평화 정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대답했다. 이날 오후 통일부 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는 ‘한·미 연합군사훈련 조정’ 의지를 내비쳤다.  

아울러 정 장관은 통일부에 두 가지를 주문했다고 밝혔다. 

“하나는 적대적 대결 노선 폐기, 평화 공존 방안을 마련하라”는 것이고 “두 번째는 남북교류협력법상 접촉 신고제 운영에 있어서 사실상 허가제로 운영돼 온 잘못된 관행을 타파하자, 민간 접촉을 전면 허용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신고만 하시고 무제한 접촉하시라”는 뜻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