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9일 첫 통화를 갖고 △양자 관계, △한미일 협력 등에 관해 논의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은 9일 12시부터 약 25분간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와 첫 통화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시바 총리의 ‘취임 축하’에 대해 사의를 표하고, “오늘날의 전략적 환경 속에서 한일관계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며 “한일 양국이 상호 국익의 관점에서 미래의 도전과제에 같이 대응하고 상생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 정상은 “상호 존중과 신뢰, 책임 있는 자세를 바탕으로 보다 견고하고 성숙한 한일관계를 만들어 나가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양국 간 활발한 교류 흐름에 주목하면서 “당국 간 의사소통도 더욱 강화해 나가자”고 했다.
강 대변인에 따르면, 두 정상은 또한 그간 한미일 협력의 성과를 평가하고, “앞으로도 한미일 협력의 틀 안에서 다양한 지정학적 위기에 대응해 나가기 위한 노력을 더해 나가자”는 데 동의했다.
아울러 향후 직접 만나 한일관계 발전 방향을 비롯한 상호관심사에 대해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누기로 했다. 두 정상은 오는 15~17일 캐나다 카나나스키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G7 계기 한일 양자 회담이 조율되고 있는지’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양 정상께서는 향후 직접 만나자라고 얘기를 하셨고 (...) 그게 G7이 될지 안 될지 거기에까지 짧은 통화 안에서 결정되기는 어렵다”고 대답했다.
‘윤석열 정부 때 임명된 조태열 외교장관이 G7 정상회의에 동행하는지, 외교차관 인선이 빨라지는지’에 대해서는 “어떤 인사들이 동반하게 되고 같이 수행하게 될지는 논의해야 되는 상황 중 하나”라며 “아직은 가닥이 잡히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차관급 인사는 좀 있으면 발표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또한 “시진핑 중국 주석에 관해서는 (통화) 조율 중”이라고 했으며 “러시아 (푸틴 대통령)과의 통화에 대해서는 정해진 바가 없다”고 알렸다.
이에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6일 밤 10시부터 20분 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실시했다.


출처 : 통일뉴스(http://www.tongil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