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첫째 주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긍정평가’ 비율이 17%로 내려앉았다.
8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 5~7일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에게 ‘윤석열 대통령이 현재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잘못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물은 결과, 17%가 긍정 평가했고 74%는 부정 평가했다.
“이번 주 윤 대통령 직무 긍정률 17%는 취임 후 최저치, 부정률 74%는 최고치”라고 [한국갤럽]이 짚었다. 지난 주(19%) 처음으로 20%대가 무너졌고, 이번 주 들어서 2%p 더 떨어진 것이다.
‘부정’ 평가 이유는 ‘김건희 여사 문제’(19%), ‘경제/민생/물가’(11%), ‘소통 미흡’(9%), ‘전반적으로 잘못한다’(7%), ‘경험·자질 부족/무능함’(6%) 등이 꼽혔다. ‘긍정’ 평가 이유는 ‘외교’(23%), ‘경제/민생’(9%), ‘주관/소신’(7%), ‘결단력/추진력/뚝심’(6%) 등이 꼽혔다.
[한국갤럽]은 특히 “제18대 박근혜 대통령은 국정 개입 의혹이 증폭되던 2016년 10월 말 긍정률 17%, 이후 12월 직무 정지까지 평균 5%였다”고 상기시켰다.
아울러 “조사 기간 사흘 중 마지막날인 11월 7일 오전 윤 대통령이 주초 예고한 대국민담화·기자회견을 했는데, 그 반향은 더 지켜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취임 100일(2022년 8월 17일), 취임 2주년 시점(2024년 5월 9일)에도 국정 구상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했다”면서 “둘 다 직무 긍정률 저점(24%, 23%)을 기록한 뒤였고, 기자회견 전후 전반적 평가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알렸다.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의거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실시된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3.1%p(95% 신뢰수준), 응답률은 11.8%(총통화 8,525명 중 1,002명 응답 완료). 더 자세한 사항은 [한국갤럽]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참조.
한편, 8일 오전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어제 담화는 대통령과 대통령실 입장에서 변화가 필요하다는 공통 인식 갖고 한 것이고 그런 인식에 기반한 변화와 쇄신 시작했다”면서 “지지율 말씀하셨지만 변화 통해서 우리가 국민 신임 얻도록 치열하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