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와 그 후손·유족들의 모임인 광복회(회장 이종찬)가 오는 14일 윤석열 대통령이 주최하는 ‘광복절 오찬’에 불참하기로 결정했다고 8일 밝혔다.
“일제시기 우리 민족의 국적이 일본이라고 하면서 식민 지배를 정당화한 사람이 독립기념관 관장에 앉아 있는 한, 광복의 기쁨을 기념하는 오찬초청에 갈 의미가 없다”면서 관계기관에 통보했다는 것이다.
‘불참’ 결정은 회원 다수의 의견을 존중했다고 덧붙였다.
광복회는 9일에도 “지금이라도 독립기념관장 임명을 당장 철회하라”고 재차 요구하고 “대통령실이 일제 식민지배를 정당화하는 ‘1948년 건국절’ 제정 추진을 공식적으로 포기하지 않는 한, 8.15 광복절 경축식 참석도 무의미하다”고 밝혔다.
“뉴라이트가 아니”라는 김형석 관장의 발언에 대해서는 “일제시기 밀정이 자신이 밀정이라고 밝히고 다녔느냐”고 일축했다. “그의 인터뷰와 과거 저작물, 세미나를 통해 누구라도 쉽게 그가 ‘건국절’을 만들어 식민지배를 미화하고, 친일파에 면죄를 주려고 독립기념관에 들어온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향후 행보’와 관련, 광복회는 “선열들이 독립운동 당시 앞이 보이지 않으면서도 아무도 도와주지 않는 상황 속에서도 오직 나라를 되찾겠다는 일념으로 나아갔듯, 후손들도 그 길을 따를 각오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 7일 광복회는 서울 여의도 광복회관 3층 대강당에서 ‘이사·지부장 긴급연석회의’를 열어 ‘독립기념관장에 식민 지배를 합법화하는 1948년 건국절 주장 인사’가 임명된 것과 관련한 대처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이는 건국절을 제도화하고 독립기념관을 건국기념관으로 만들기 위한 음모의 일환”이라며 “후손들의 의견을 수렴해 다양한 방법으로 역사정의가 바로 설 때까지 강력히 대응해나가겠다”고 결의했다.
광복회에 따르면, 이날 이종찬 회장은 “친일을 반민족이 아니라는 사람을 관장으로 임명한 것은 일제 강점기 식민지배를 합법화시켜주고 독립운동을 헛수고, 헛발질로 치부하는 것으로, 이는 후손들이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건국절 만드는 것을 감춰야하는데 가장 좋은 것은 이승만을 앞세워 그를 ‘건국대통령’으로 만들려는 것”이라며 “이는 독립운동 세력을 약화, 분열시키고 민족혼을 빼는 일제 시대 밀정 같은 일”이라면서 “이런 세력들이 고개를 못 들도록 싸워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족문제연구소(소장 임헌영)은 오는 10일 오전 11시 충남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 분수광장 앞에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 윤석열 정권 규탄대회」를 개최한다.
지난 7일 성명을 통해서는 “역대 독립기념관장은 모두 유수한 독립운동가의 후손이거나 독립운동사 연구의 권위자 또는 독립운동 유관 단체에서 오랜 기간 활동했던 인사들이었”으나 “김형석 발탁은 그 어느 경우에도 해당 사항이 없는 낙하산 인사의 전형적 사례”라고 비판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우리는 윤석열 정권이 지금이라도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을 철회할 것을 강력히 촉구하며, 이러한 정당한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때는 전면적인 저항운동을 벌여나갈 것임을 분명히 경고해 둔다”고 밝혔다.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 등 20여 단체의 연대체인 (사)항일독립선열선양단체연합도 8일 성명을 통해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 철회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경우 “윤석열 정부의 광복절 등 어떠한 정부 기념행사에도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