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라이트’ 인사들이 한국학중앙연구원과 독립기념관의 주요 직위를 차지한 가운데, 야권이 윤석열 대통령의 ‘대일관’과 ‘역사인식’에 대해 근본적 의문을 드러냈다.
더불어민주당 최민석 대변인은 8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학계에서 퇴출돼야 할 친일역사학자 김형석 교수가 끝내 윤 대통령의 임명을 받아 오늘 독립기념관장직에 취임했다”면서 “김형석 관장은 “1945년 광복은 틀리며, 1948년 이전엔 우리 국민은 없고 일본 국민만 있었다.”라는 망언으로 ‘내선일체’를 정당화하고 임시정부와 독립운동을 부정해 왔다“고 질타했다.
“윤 대통령은 올 2월에도 식민지 근대화론을 신봉하는 사람을 이사에 앉혔다 (...) 심지어 윤석열 정부는 일본이 조선인 ‘강제’ 동원 명시를 거부했음에도 사도광산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찬성해 주었고, 피해자 유가족의 의견도 청취하지 않았다.”
최 대변인은 “국민과 국회에는 그렇게 남발하던 ‘거부권’을 왜 써야 할 때는 쓰지 않는가”면서 “윤 대통령이 말하는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는 내선일체의 한일 관계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쏘아붙였다.
전날(7일) 오후에는 독립운동가 후손인 권칠승, 한병도, 송옥주 의원이 기자회견을 통해 “독립기념관 비상임이사에서 일괄사퇴함”을 밝혔다. “윤석열 정부는 김형석 이사장의 임명을 지금 당장 철회하고, 독립기념관을 ‘자랑스러운 우리 민족의 독립기념관’으로 지금 당장 복원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조국혁신당 김보협 대변인도 “윤석열 대통령의 인사 원칙이 점점 뚜렷해지고 있다. ‘극우 일베’ 성향 친일파를 중용한다”면서 “그래도 이건 너무하다”고 개탄했다.
그는 “이종찬 회장은 오늘 MBC 라디오에 출연해 “용산 어느 곳에 일제 때 밀정과 같은 존재의 그림자가 있는 것이 아닌가”라며 에둘러 말했다“면서 ”이 회장이 하고 싶었던 말씀 대신해드리겠다. 윤석열 대통령이 바로 ‘일본 강점기 밀정 같은 존재’”라고 질타했다.
8일 진보당 홍성규 대변인은 “용산 대통령실 한복판에 ‘일제 밀정의 그림자’를 두고도 과연 강력한 안보가 타당키나 한가”면서 “경제에도 도움이 된다는 그 강력한 안보를 위해서라면, 지금 즉시 용산에 서린 친일 밀정의 그림자부터 뿌리 뽑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