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엘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만난 중.러 정상. [사진 갈무리-중 외교부]
16엘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만난 중.러 정상. [사진 갈무리-중 외교부]

“양측은 미국이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는 실효적 조치를 취해 유리한 조건을 조성하고, 위협과 제재, 압박 수단을 버리고, 상호존중과 서로의 안전우려를 고려하는 원칙에 따라 조선과 다른 관련국 간 협상 프로세스를 재개할 것을 촉구한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16일 발표된 ‘중·러 수교 75주년 신시대 전면 전략 협력 동반자 관계 심화에 관한 공동성명’은 “양측은 미국과 그 동맹국들의 군사적 위협 행위, 조선에 대한 대항과 무장충돌 도발행위로 인한 조선반도 긴장 고조를 반대한다”면서 이같이 명시했다. 

이어 “양측은 정치 외교적 수단이 반도 문제를 풀어갈 유일한 길임을 거듭 확인하고, 국제사회가 중·러의 건설적인 공동 이니셔티브를 지지해줄 것을 호소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중국과 러시아는 이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 대북 제재 완화를 통한 대화 재개 방안을 담은 안보리 결의 초안을 제출했으나, 미국 등의 강한 반대에 막혀 있다. 

이번 성명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국빈 방중으로 성사된 시진핑 주석과의 정상회담을 거쳐 나온 것이다. 

성명은 “현재의 중·러 관계는 냉전시대의 군사정치동맹모델을 뛰어넘어, 동맹이나 대항 또는 제3자를 겨냥하지 않는 성격을 띄고 있다”면서 “격변하는 세계정세에 직면하여 중·러관계는 국제풍운의 변화를 견뎌냈고 안정적이고 강인한 특성을 부각시키며 역사상 최고수준에 있다”고 자평했다. 

특히 “양측은 군사적 상호신뢰와 협조를 더욱 심화하고 연합훈련 규모를 확대하며 정기적으로 해상·공중 연합 순찰을 조직하고 양자·다자 틀에서 조정과 협력을 강화하여 위험도전에 대처하는 공동 능력과 수준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명시했다. 한반도 주변에서 중·러의 무력시위가 더 잦아질 것임을 예고한 셈이다.

성명은 또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위기를 정치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환영한다”면서 “양측은 전쟁을 질질 끌고 충돌을 더 격화시키는 모든 움직임을 중단하고 통제불능의 위기를 피할 것을 촉구했다”고 명시했다. ‘파리 올림픽 기간 휴전안’ 등이 논의됐다는 뜻이다. 다만,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다른 서방국들이 중국의 제안에 호응할지는 미지수다.   

16일 아침 베이징에 도착한 푸틴 대통령은 이날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 등을 마치고 17일 하얼빈을 방문한 뒤 귀국길에 오를 예정이다. 접경 도시 하얼빈은 중·러가 공동주최하는 박람회가 열리는 곳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