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3년 12월 안보리 공개회의에서 연설하는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 [사진출처-유엔 웹TV]
지난 2013년 12월 안보리 공개회의에서 연설하는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 [사진출처-유엔 웹TV]

북한이 최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제제 이행 감시를 위한 '1718위원회 전문가 패널'의 임기 연장을 부결시킨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에 사의를 표명했다.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은 3일 김성 유엔주재 북한 대사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러시아가 안보리에서 겨부권을 행사하고 1718위원회 대북제재 전문가 그룹의 권한을 연장하기 위한 미국의 결의안 초안을 저지한데 대해 감사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타스에 따르면, 그는 "안보리가 북에 부과한 제재 조치와 제재위원회 활동을 결코 인정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전문가패널 임기 연장에 거부권을 행사한 러시아의 결정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앞서 러시아는 지난 3월 28일 유엔안보리가 1718위원회 전문가 패널의 임기와 권한을 2025년 4월 30일까지 연장하는 결의안을 처리하기 위한 표결에서 미국이 제출한 결의안 초안에 거부권을 행사해 부결시켰다.

안보리 이사국 15개국중 13개국이 찬성했고 중국은 기권했다.

앞서 안보리는 북한의 1차 핵실험 직후인 2006년 10월 14일 결의 1718호를 채택하고 대북 제재 이행을 감시하는 위원회(1718위원회)를 설치했다. 북한의 2차 핵실험 직후인 2009년 6월에는 1718위원회를 보조하는 전문가 패널을 만들었다.

전문가 패널의 활동 종료로 인해 제재 집행은 어려워지겠지만 완전히 약화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미국 주도의 제재 체재를 해체하려는 러시아의 적극적 시도가 시작된 것이라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마리아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거부권 행사가 무책임한 행동이라는 서방의 반발에 대해 "러시아는 안보리 제재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지만 이러한 조치가 특정 국가를 처벌하기 위한 무차별적인 무기로 변질되는 것을 가만히 지켜볼 수는 없다"고 대응했다.

이번 표결에서 기권표를 던진 중국이 최근 양회에서 '비동맹, 비대결, 제3국 비적대'를 핵심주장으로 내세우고 있는 것도 미국이 주도하는 제재 체제의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