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 중인 줄리 터너(Julie Turner)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전영희 외교부 평화외교기획단장과 면담을 갖고 북한 인권 관련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외교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전영희 단장이 한미간 북한인권 상황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여 구체 협력방안을 논의할 수 있는 틀로서 ‘한미 북한인권 협의체’ 개최 추진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터너 특사는 ‘한미 북한인권 협의체 개최’의 유용성에 공감한다면서, 양측은 외교 채널을 통해 이른 시일내에 협의체를 개최할 수 있도록 협조해 나가기로 했다.
외교부 관계자에 따르면, 2016~17년 우리측 외교부 평화기획단장과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 간에 세 차례 북한인권 협의체가 개최된 바 있고, 터너 특사 방한을 계기로 이른 시일 내에 4차 협의체가 개최될 예정이라는 것. 빠르면 연내 개최도 점쳐지는 대목이다.
한미 양국은 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에도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의 대북 규탄이나 제재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이른바 ‘북한 돈줄죄기’와 ‘북한 인권 이슈화’를 양대 축으로 대북 압박을 강화하는 추세다.
전영희 단장은 터너 특사가 지난 5월 17일 상원 청문회 계기에 언급한 구상을 바탕으로, △북한인권 유사입장국간 협력 강화, △책임규명(accountability) 노력 강화, △북한인권 개선 촉구 아웃리치 등 다양한 사안에 대해 협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전 단장은 최근 중국내 탈북민 강제 북송 보도와 관련, 우리 정부는 탈북민들이 인도주의적 원칙에 따라 희망하는 곳으로 가야 한다는 입장임을 재확인, 강조했다.
앞서, 이날 오전 터터 특사의 예방을 받은 박진 외교부 장관은 “우리 정부는 어떠한 경우에도 탈북민들이 자신의 의사에 반하여 강제 북송되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라고 확인하고, 한국행을 희망하는 탈북민들은 전원 수용한다는 원칙하에 이들의 안전하고 신속한 국내이송을 위해 외교적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터너 특사는 유엔 등 다자무대를 비롯하여 북한인권 유사입장국과의 협력 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미간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평가하고, 북한인권 개선을 촉구하기 위해 한국 정부를 비롯하여, 국제기구, 시민단체 등과 협력해 나갈 포부를 밝혔다.
6년간 공석이었던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로 지난 13일 임명된 줄리 터너(Julie Turner) 특사는 16일 방한해 첫 일정으로 박진 외교부 장관을 예방한데 이어 전영희 단장과 면담했으며, 고려대학교에서 ‘한미 북한인권대사와 청년간 대화’를 가질 예정이다. 이 외에도 김영호 통일부 장관 예방 등 정부 관계부처 면담과 시민사회 접촉 등 다양한 일정을 소화하고 18일 출국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