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왕이 중국 공산당 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이 16~17일(현지시각) 지중해 몰타에서 전격 회동했다.
미국 백악관은 “이 회동은 소통라인을 열어두고 관계를 책임 있게 관리하기 위해 계속된 노력의 일환”이라며 “양측은 지난 2022년 11월 발리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간 대화에 근거해 솔직하고 실질적이며 건설적인 논의를 했다”고 알렸다.
지난 5월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이뤄진 설리번-왕이 회동과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재닛 옐런 재무장관, 존 케리 기후특사,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의 방중 계기 미·중 고위급 접촉의 후속작업이라고 덧붙였다.
논의된 주제로는 양자와 지역·안보 문제 외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전쟁, 대만 해협 문제를 꼽았다.
백악관은 “미국은 대만해협에서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이어 “양측은 이러한 전략 소통 채널을 유지하고 추가적인 고위급 관여와 미국과 중국 간 핵심 분야에서 토의를 추구하기로 약속했다”고 알렸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이 위원은 “대만 문제가 중미관계의 첫 번째 레드라인”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중미 공동성명 3개를 준수하고 ‘대만독립’을 지지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한 “중국의 발전은 강력한 내생 동력을 가졌고, 필연적 역사논리에 따라 막을 수 없으며, 중국 인민의 정당한 발전 권리는 박탈될 수 없다”고 밝혔다.
양측은 “발리 정상회담 합의를 이행하고 고위급 교류를 유지하며, 중미 아태사무협의, 해양사무협의, 외교정책협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아태사무협의 등은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에 대한 중국의 우려를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미·중은 또한 “아태 지역 정세, 우크라이나, 조선반도 등 국제·지역 안보 문제”를 논의했다. 구체적 내용은 알리지 않았으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방문 계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회담 문제도 논의됐을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