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리 결의에 위반한 것에 대해서 제재에 전혀 동참을 안 하면서 우리보고 어떻게 하라는 얘기에요. 우리는 선택의 여지가 없어요.”
지난달 26일(현지시각) 한미 정상이 채택한 ‘한미동맹 70주년 공동성명’, ‘워싱턴선언’에 대해 중국이 반발한 데 대해, 2일 ‘용산어린이정원 개방’ 계기 기자단 오찬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이 이같이 불만을 토로했다.
“한미 간 워싱턴 선언하고 핵 기반으로 안보협력을 업그레이드 하는 것을 우리한테 이의를 제기하고 비판하려고 하면 핵 위협을 줄여주든가 적어도 핵 위협을 가하는 데 대한 안보리 제재는 국제법은 지켜줘야죠”라며, “국제법 중에 중요한 게 UN결의 아닙니까”라고 되물었다.
한국이 미국 주도의 대중 경제봉쇄망에 더 깊이 들어갔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중국이 우리한테 적대행위만 안 하면 서로 계약을 정확히 지키고 예측 가능하게 하고, 상호존중하면 중국하고 얼마든지 경제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고. 우리가 중국이 필요로 하는 물건을 우리가 안 주는 것도 아니고. 현재 그런 것 없다”라고 주장했다.
“기술이든 상품이든 중국에 수출 통제하는 것 없다”라고 거듭 말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27일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역내 안보와 번영의 필수요소로서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유지의 중요성’을 확인한 한미정상 공동성명을 겨냥해 “대만 문제는 순전히 중국의 내정으로 중국 핵심이익의 중의 핵심이고 대만 문제 해결은 중국인이 스스로 할 일이며 어떠한 외부세력의 간섭도 결코 용납하지 않는다”고 일축한 바 있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주중 한국대사관 공사를 불러들여 항의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만약 북한이 미국과 동맹, 우방국을 핵공격한다면 북한 정권의 종말에 이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 데 대해, 마오 대변인은 “(한)반도 문제가 복잡민감한 만큼 유관국들이 반도 문제의 핵심을 직시하고 긴장 조성, 대립 부추기기, 위협 부풀리기를 피하고 대화와 협상을 통한 정치적 해결에 이르도록 건설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맞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