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는 한미 정상이 발표한 ‘워싱턴 선언’을 우리 정부가 중국측에 사전 설명했다는 외교부 대변인의 발언은 사실이 아니라고 27일 정정했다.
외교부는 기자들에게 문자공지를 통해 “금일 외교부 대변인이 언급한 “우리 정부가 한미 ‘워싱턴 선언’을 중국측에 사전 설명했다”는 언급은 사실과 다르며, 우리측은 중국측에 관련 설명을 하지 않았음을 알려드린다”고 정정했다.
앞서,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27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이번 확장억제와 관련된 워싱턴선언에 대해서는 사전에 유관국들에게도 설명을 했다”고 답했다.
외교부 관계자도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현재 외교 채널을 통해 한중 양국 간에 계속 필요한 소통이 원활하게 유지되고 있다”면서 “공동성명은 양국(한미) 간의 협의를 통해서 채택됐고 아직 중국 측의 반응은 없었다”고 확인했다.
한편,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6일 오후(현지시간) 워싱턴 프레스룸 브리핑에서 “미국이 오늘 ‘워싱턴 선언’을 발표하기 하루 이틀 전에 중국에 ‘워싱턴 선언’을 대략 사전 설명했다”면서 “선언이 중국과 직접적인 충돌 요인이 아니며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동맹 차원의 대비 방안이기에 중국으로서는 이를 우려하거나 아무런 문제 의식을 가질 필요가 없겠다는 취지로 사전 브리핑을 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결국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발표한 ‘워싱턴 선언’은 미국측에 의해 발표 하루 이틀 전에 중국 측에 사전 설명됐고, 우리 정부는 중국 측에 사전 설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셈이다.
한미 정상이 발표한 ‘워싱턴 선언’은 북한의 핵위협에 대한 확장억제를 골자로 새로운 핵협의그룹(NCG) 설립 등을 담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