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가지 조건을 달았으나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제공 가능성을 내비친 윤석열 대통령의 19일자 [로이터통신] 인터뷰에 대해, 러시아 대통령실(크렘린궁)이 발끈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19일 브리핑에서 “불행하게도 한국은 전체적으로 (러시아에) 다소 비우호적인 입장을 취했다”고 지적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이어 “그들(주-서방)은 점점 더 많은 나라들을 이 분쟁에 직접 끌어들이려 할 것”이나 “물론 (한국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인도 개시는 이 분쟁에 관여하는 확실한 단계라는 암묵적인 의미”라고 못박았다. 

전 대통령이자 현 러시아안보회의 부의장인 드미트리 메드베데프는 더 강경한 발언을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텔레그램 메시지를 통해, 그는 “러시아의 최신 무기가 그들의 가장 가까운 이웃이자 우리의 우방국인 북한의 손에 있음을 알게 되면 이 나라 국민들이 무슨 말을 할지 궁금하다”라고 쏘아붙였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안보회의 부의장. [사진 갈무리-타스통신]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안보회의 부의장. [사진 갈무리-타스통신]

[타스통신]에 따르면, 메드베데프 부의장은 “우리의 적들을 돕고자 하는 새로운 열성자들이 나타났다”면서 “한국 윤석열 대통령은 원칙적으로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고 지적했다. 

“최근까지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공할 가능성은 완전히 배제되어 있다고 강하게 확신했었다”고 덧붙였다. 

한국 대통령실은 19일 밤 입장 자료를 배포해 ‘톤다운’을 시도했다.

“오늘(4.19)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의 언급은 가정적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 코멘트하지 않고자 한다”면서 “관련하여, 윤석열 대통령의 로이터통신 인터뷰 내용을 정확히 읽어볼 것을 권한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우리 정부가 한러 관계를 고려해서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점과 함께, 민간인에 대한 대규모 공격이라든지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대량학살 등의 사안이 발생한다면 우크라이나를 어떻게 지원할지 검토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고 밝혔다.

이와 달리, 동맹국이라는 미국은 불난 집에 부채질을 하고 나섰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윤 대통령 발언 관련 질문을 받은 존 서플 미국 국방부 대변인이 “미국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우크라이나 국방연락그룹에 대한 한국의 기여를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