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6일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방문과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박진 외교부 장관이 방한 중인 미국 상하원 의원들과 면담하는 등 한미간 접촉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조현동 외교부 제1차관은 5일 오전 에드가드 케이건(Edgard Kagan) 미국 백악관 NSC 동아시아·오세아니아 담당 선임보좌관을 접견했고,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7일 서울에서 한⸱`미⸱일 대북정책 수석대표 협의를 가질 예정이다.
외교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박진 장관은 5일 오전 방한 중인 존 오소프(Jon Ossoff) 미 상원의원을 면담했다. 오소프 민주당 상원의원은 ‘코리아 코커스’에 소속돼 있고, 대미 투자가 활발한 조지아주가 지역구이다.
박 장관은 윤 대통령의 국빈방미 계기에 양 정상 간 한미동맹의 미래 발전방향과 구체 협력방안을 논의할 것이라며, 성공적 방미를 위한 미 의회 차원의 초당적 지원을 당부했다.
또한 △반도체, 배터리 등 첨단기술, △국제규범 형성, △경제교류 등 모든 측면에서 협력을 확대할 것을 기대한다면서 특히 조지아주 내 우리 기업들의 진출 및 투자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아울러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IRA)으로 인한 대미 투자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의회 차원의 관심을 요청하기도 했다.
오소프 상원의원은 글로벌 공급망 등 역내외 복합적 위기 속에 민주주의라는 핵심가치를 공유하는 한미 간 공조가 매우 긴요하다면서 조지아주 내 한국기업들의 지속적인 투자를 환영하며 앞으로도 이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가능한 지원 노력을 다하겠다고 화답했다.
박진 장관은 앞서 전날(4일) 방한 중인 마이클 맥콜(Michael McCaul) 미 하원 외무위원장을 비롯한 하원의원 8명을 면담했다.
박 장관은 미 의회 차원에서도 윤 대통령의 성공적 방미를 위해 전폭적으로 지원해줄 것을 요청하고,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관련 우리 기업들의 대미 투자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데 미 의회가 지속적으로 관심과 지지를 가져줄 것을 당부했다.
맥콜 하원 외무위원장을 비롯한 의원단은 핵심가치를 공유하는 한미 양국간 공조가 매우 긴요하다는 데 공감을 표하고, 성공적인 한미동맹 70주년 및 우리 정상 국빈 방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미 의회 차원에서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한국이 인태(인도-태평양)전략을 통해 자유롭고 평화로우며 번영하는 역내 질서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이번 방한 의원단은 Michael McCaul 하원 외무위원장(공화/텍사스)을 비롯해, Young Kim 인태소위 위원장(공화/캘리포니아), Ami Bera 인태소위 간사(민주/캘리포니아), French Hill 의원(공화/아칸소), Madeleine Dean 의원(민주/펜실베니아), Mike Waltz 의원(공화/플로리다), Michael Lawler 의원(공화/뉴욕), Nathaniel Moran 의원(공화/텍사스)이다.
대체로 한국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지역구 의원들로 구성돼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지역 현안 등을 챙기기 위한 행보로 읽힐 수 있다.
한편, 조현동 제1차관은 5일 오전 에드가드 케이건 NSC 선임보좌관을 접견하고 윤석열 대통령의 성공적 국빈방미를 위해 협의했다. 조현동 1차관은 주미대사로 내정돼 미국의 아그레망을 기다리며 차관직을 수행하고 있다.
외교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양측은 한미 양국이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을 내실 있게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현재의 복합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였으며, 이를 위해 한미 간 다양한 채널로 계속해서 긴밀히 소통해 나가기로 하였다”고 전했다.
김건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오는 7일 서울에서 성 김(Sung Kim) 미국 대북특별대표, 후나코시 다케히로(船越健裕) 일본 북핵수석대표와 한·미·일 대북정책 수석대표 협의를 가질 예정이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4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3국 수석대표는 이번 회담에서 최근 북한의 연이은 도발에 따른 엄중한 한반도 정세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대응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라며, “김 본부장은 또한 한미·한일 북핵수석대표 협의도 별도로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미⸱일 대북정책 수석대표들의 대면협의는 현 정부 들어 지난해 서울(6월), 도쿄(9월), 자카르타(12월)에 이어 네 번째이지만 북한의 군사행동에 대한 규탄 외에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