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일본 헌법, 국제인권규약, 국제아동권리협약에 위배되는 조선학교에 대한 차별조치를 즉각 철회하라.”
‘우리학교와 아이들을 지키는 시민모임’(아래 우리학교시민모임) 등이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조선학교 차별 중단, 고교·유보 무상화 적용 요구 400차 금요행동”을 통해 “승리를 위해 끝까지 싸워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요구했다.
특히 “유엔 사회권규약위원회가 이미 권고한대로 하루빨리 조선학교 학생들에게도 ‘고교무상화’, ‘유보무상화’ 정책을 적용”하고, “조선학교 학생들의 교육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중단하라”고 했다.
이들은 또한 “일본 정부는 재일조선인에 대한 혐오를 부추기는 정책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재일조선인을 향한 증오범죄에 대해 철저한 방지대책을 마련하고, 범죄자를 엄중히 처벌하라”고 요구했다.
‘우리학교시민모임’ 등에 따르면, 지난 9월 9일 도쿄 키타구 JR아카바네 역에서는 ‘조선인 죽이기 모임’이라는 낙서가 발견됐고, 조선학교 학생들이 통학길에 위협을 받거나 학교에 수시로 협박전화가 걸려오는 등 범죄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재일조선인은 일본에서 살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생명까지 위협받고 있는 상황”인데 “이는 일본정부와 언론의 의도적인 ‘혐오정책’에 따른 결과로 매우 우려되는 지점”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아베 신조 전 총리 시절인 2013년 일본 정부는 고교무상화 대상에서 조선학교를 배제했다. 이에 반발하는 단체들이 매주 금요일 문부과학성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한국에서도 2014년 12월 5일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금요행동’이 시작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