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기본적으로 면피성 발언을 넘어서 국민들을 무시하고 진짜 행안부 장관으로서 책임 의식이 전혀 없는 오만방자한 표현이다, 이렇게밖에 판단할 수가 없다.”
더불어민주당 용산이태원참사대책본부 부본부장인 이성만 의원이 1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경찰과 소방이 미리 배치됐어도 피할 수 없었다, 이런 얘기는 뒤집어서 얘기하면 사고는 필연이었다 이런 뜻 아니겠나”면서 이같이 질타했다.
“사고가 필연일 것 같으면 그런 상황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우리 시민들이 모이지 않게 했어야죠”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30일 긴급현안브리핑에서 “특별히 우려할 정도로 많은 인파가 모였던 것은 아니”고, “경찰이나 소방 인력이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지금 파악을 하고 있”다고 주장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을 겨냥한 것이다.
박희영 용산구청장, 윤석열 대통령 등이 행사주체가 없었다며 제도 미비를 들어 책임을 회피하는 데 대해, 이 의원은 “행사 주체가 없다고 한다면 당연히 그 안전에 대한 주체는 정부”라고 잘라 말했다.
“작게는 구청이고 또 크게는 대한민국이고, 또 경찰청”이라며 “그래서 이런 것을 망각하고 주최자가 없기 때문에 자기네들이 책임주체가 아니라고 얘기하는 것은 더 이상 국가를 운영할 책임(감)을 갖고 있지 않다”라고 개탄했다.
이번 참사가 발생한 지역을 책임진 박희영 용산구청장과 오세훈 서울특별시장, 중앙정부를 관장하는 윤석열 대통령 모두 국민의힘 소속이다. 특히,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윤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졌다.
한편, 지난달 31일 서울시청광장 합동분향소를 찾아 조문한 이정미 정의당 신임 대표는 “어제 하루 우리가 확인한 것은 막을 수 있었던 참사였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10만이 넘는 인파 참여가 충분히 예측되었고, 이전의 축제들에서는 이에 대한 대비들이 있었다”면서 “지자체의 사전 안전 점검과 대비, 경찰력을 동원한 통행로 확보와 좁은 길 일방통행 통제 등은 할 수 있는 일이고 해야만 했던 일”이라고 했다.
이 대표는 “주최 측이 없었다거나 경찰력 통제 여부와 무관하다, 당일 광화문의 집회 때문에 경찰력이 분산되었다는 식의 정부 발표는 유가족과 국민에게 두 번 상처를 입히는 것”이라며 “책임회피에 급급한 면피용 발표에 분노를 느낀다”고 밝혔다.
“수습만큼이나 이번 참사의 원인을 가감 없이 드러내고 그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