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밤 서울 이태원 핼러윈 행사에서 대규모 압사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30일 오후 대통령실이 윤석열 대통령의 동선을 나름 소상하게 공개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어제 사고가 22시 15분(밤 10시 15분)에 발생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거의 즉시, 대통령은 사고 발생 보고를 접한 후에 이와 거의 비슷한 시기에 지시사항이 나간 것으로 알고 있다”고 알렸다.
“그 지시사항은 행정안전부 장관을 중심으로 모든 관계 부처 그리고 기관에 대해 시민들에 대한 신속한 구급, 치료를 당부하는 내용이었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후에 윤석열 대통령이 2차로, 부상자에 대한 보고가 들어옴에 따라 보건복지부 장관의 응급의료체계를 신속하게 가동해 응급의료팀을 파견하고, 인근 병원에 응급병상 확보를 신속하게 실시하기를 바란다는 지시를 내렸다”고 알렸다.
아울러 “새벽 0시 자정을 넘기면서 대통령은 직접 위기관리센터에서의 긴급 상황점검회의 개최를 지시했다”고 전했다. 전화 또는 화상 연결을 통해 ‘후송 및 구호’에 최우선순위를 두고 “모든 조치를 다할 것을 지시하는 세 번째 지시사항이 내려졌다”는 것.
윤 대통령은 30일 오전 대국민담화를 발표한 뒤 이태원 사고 현장을 방문했다. 정부서울청사 상황실을 찾아 대책 회의를 주재했다. 정부는 다음달 5일까지 국가애도기간으로 정하고 관공서에 조기를 게양했으며, 용산구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김건희 여사 등과 관련된 정보공개청구에 거부로 일관하던 대통령실이 윤 대통령의 동선을 나름 소상하게 공개한 이유는 ‘세월호 참사’ 교훈과 관련 있어 보인다.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동선을 숨겼다가 국민적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30일 [경향신문] 등은 윤 대통령의 최측근인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책임회피성 발언을 지적했다.
이 장관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가 풀리는 상황이 있었지만 그 전과 비교했을 때 특별히 우려할 정도로 많은 인파가 모였던 것은 아니었다”며 “통상과 달리 경찰이나 소방 인력을 미리 배치해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지금 파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아가 “어제 서울 시내 곳곳에서 여러 가지 소요와 시위가 있었기 때문에 경찰 경비병력들이 분산됐던 그런 측면이 있었다”며 “경찰 경비병력의 상당수는 광화문 쪽으로 배치가 돼 있었다”고 말했다. ‘이태원 참사’의 책임을 광화문 시위 탓으로 돌인 셈이다.
31일 오전 6시 기준 이태원 참사 사망자는 154명이다. 외국인 사망자도 14개국 26명에 이른다. 이란 5명, 중국 4명, 러시아 4명, 미국 2명, 일본 2명 등이다. 부상자는 149명(중상 33명 포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