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렬 외교부 아태국장은 26일 오전 일본 외무성에서 후나코시 다케히로(船越 健裕) 아시아대양주국장과 한일 국장 협의를 갖고, 강제징용 문제 등 현안을 조율했다.
외교부는 26일 “이번 국장 협의는 양국 외교당국이 현안의 합리적 해법 모색을 위해 지속해 온 소통의 일환으로, 양 국장은 현안 및 상호 관심 사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다”면서 “이 국장은 한일관계 개선 및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한 우리측 노력을 설명하면서 동 문제 해결을 위해서 일측이 성의 있는 호응을 보일 필요가 있음을 재차 강조하였다”고 전했다.
일본 [산케이신문]은 21일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 “지난 4일 열린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박진 외교부 장관이 백색국가(화이트 리스트) 복귀를 요청했다”, “일본이 반도체 재료 3개 품목의 수출관리를 엄격화한 것에 대해서도 해제를 요구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그러나 일본측은 이를 거부했다고도 했다.
외교부는 “이에 후나코시 국장은 일본 정부 입장을 설명하였다”고 전했지만 상세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외교부는 “양 국장은 한일 관계의 복원・개선을 위해 외교당국간 소통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의견이 일치하였으며, 앞으로도 각급에서 긴밀히 소통해 나가기로 하였다”고 전했다.
우리 정부는 대법원이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일본기업 한국지사의 자산을 ‘현금화’할 수 있도록 판결하기 전에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지만 피해자들이 납득할 만한 ‘방안’을 내놓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인 상황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25일 오후 기자들의 관련 질문에 “수렴하고 경청하고 설명하고, 설득하는 노력들이 계속될 것”이라며 “수렴과 경청은 지금까지 세 차례 민관협의회가 계속됐고, 이와 같은 노력을 계속하면서, 또 앞으로 있을 수 있는 민관협의회에 최근에 불참하겠다고 한 분들까지 참석할 수 있도록 설득할 것”이라고 설명하고 민관협의회 외에도 ‘별도의 방식’을 통해서 피해자측 의견을 경청하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