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블링컨 장관이 14일(현지시각) “북한의 최근 탄도미사일 발사들을 규탄했다”고 미국 국무부가 밝혔다.

이날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의 통화에서 블링컨 장관은 북한의 발사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고 한미일 삼각협력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미국의 한국 방위 약속은 철통 같다고 되풀이했다.

“그들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협력을 논의했다”고 미국 국무부가 밝혔다. 

이날 두 장관은 ‘코로나19 팬데믹’을 끝내기 위한 계속적인 협력과 긴급한 행동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블링컨 장관은 △미얀마 사태,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밝혔다. 

한국 외교부는 15일 보도자료를 통해 두 장관이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방향”과 함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 방안”에 대해 협의했고, “대화 재개를 위한 한미의 노력에 북한이 조속히 호응해 올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또한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한미 양국이 긴밀히 협력해온 것을 평가하고, 개도국에 대한 백신 지원 확대 등 코로나19 종식을 위한 양국간 협력을 지속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알렸다.

한편, 14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발사’ 관련 질문을 받은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발사물의 성격은 좀더 따져봐야 할 것이니 각국이 섣불리 규정하거나 과잉반응해서는 안된다”고 제동을 걸었다.

그는 “우리는 유관국들이 각별히 말과 행동을 조심하고, (한)반도 평화 안정을 함께 지키며, 대화와 협상을 통해 각자 관심사를 해결하고, ‘쌍궤병행’ 구상과 단계적·동시적 원칙에 따라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 프로세스를 추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