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각)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발사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규정했다.
이날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서 ‘극초음속 미사일을 발사한 다음날 김정은이 남북통신연락선을 복원하고 싶다고 말했는 데 어떻게 보는가’는 질문을 받고 “그들이 정확히 뭘 했는지 어떤 기술이 활용됐는지 평가 중”이나 “그와 관계없이 국제사회가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안보리 결의에 대한 반복적인 위반”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현재 상황을 평가하고 대처하기 위해 성김 대북특별대표가 한국, 일본 측 당국자들과 협의 중이라고 알렸다.
블링컨 국무장관은 “남북대화 문제에 대해 우리는 원칙적으로 그것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우리의 동맹인 한국이 앞으로 나아갈 길이 있는지 찾으려 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 맡겨 두고 있”으나, “우리는 이러한 거듭되는 안보리 결의 위반을 우려하고 있는데, 그것이 더 큰 불안정과 안보불안을 낳을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이 현재 한국 주도의 남북-북미대화 재개 노력을 지지하고는 있으나, 북한의 연속된 미사일 발사로 인해 인내력이 소진되고 있음을 내비친 셈이다.
실제로 미국은 영국, 프랑스와 함께 북한의 미사일 문제를 다루기 위한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을 요구했다. 이 회의는 1일 열린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지난달 23일 뉴욕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미국이 북한과의 직접 대화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유인책’을 제공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우리가 이 상태로 방치한다면 북한의 미사일 능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 장관은 대화의 장애물로 북·미 간의 불신과 코로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북한의 국경봉쇄를 꼽았다. 그는 “불신은 단번에 극복될 수 없다”며, 미국이 제시할 수 있는 ‘구체적인 것’으로는 ‘종전선언’을 들었다.
반면, 미국 고위당국자는 바이든 정부가 구체적인 제안을 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일축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전했다. 교착상태가 지속되는 이유는 미국의 대화 손짓에 반응하지 않은 북한 탓이라고 공을 넘겼다.
이 당국자는 “우리는 북한과의 진지하고 지속가능한 외교를 모색 중이고 조건없이 만날 준비가 되어 있다”면서 “우리는 북한과의 논의를 위해 구체적인 제안을 했으나 북한으로부터 대답이 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