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러시아 외교장관들이 12일(이하 현지시각) 전화통화를 갖고 대북 접근법을 논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국무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에게 “미국의 북한 정책 개요”를 설명했다고 알렸다. 지난달 30일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대북정책 검토가 끝났다”면서 트럼프 정부의 ‘일괄타결’도, 오바마 정부의 ‘전략적 인내’도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 

12일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은 “(양측이) 한반도 핵문제 접근법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다.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는 안보리 이사국들에게 대북 제재 완화를 요구하는 결의안 초안을 돌린 바 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오는 21일 백악관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대면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일 ‘취임 4주년 특별연설’에서 “5월 하순 예정된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한미동맹을 굳건히 다지는 한편, 대북정책을 더욱 긴밀히 조율하여 남과 북, 미국과 북한 사이의 대화를 복원하고 평화협력의 발걸음을 다시 내딛기 위한 길을 찾겠다”고 밝혔다. 

바이든 정부의 새 대북정책에 대해서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기본 목표로 싱가포르 선언의 토대 위에서 외교를 통해 유연하고 점진적·실용적 접근으로 풀어나가겠다”는 방향이라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