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오전 한 민간 소식통은 “7월 초부터 위탁가공업체들과 평양에 투자했던 업체들이 중국 단동에서 북측 민경련을 세 차례로 나누어서 매회 10명 이내로 만나려는 것으로 안다”며 “그동안 계속 경협업체들의 요청이 있었지만 정부가 불허하다 5.24조치 1년이 지난뒤 6월 초부터 정부가 입장을 완화했고, 금강산과 개성 방문부터 시작된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통일부 관계자는 30일 오전 ‘북측이 남측 경협기업들에게 자산 정리 방침을 통고하고 업체들이 방북이나 접촉을 요청했느냐?’는 질문에 “그 같은 일에 대해 통일부에 보고해온 업체는 전혀 없었다”며 “방북 승인 신청도 두 건 외엔 없었다”고 부인했다.
지난 23일과 27,28일 개성에서 석재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태림산업 관계자들의 방북을 시작으로 29일 금강산샘물을 생산하고 있는 K물산 관계자들의 금강산지구 방북이 전부라는 것이다.
이 당국자는 “자신들의 재산권 보호나 현지시설 유지보수, 관리의 필요에 의한 방북신청이나 접촉신청은 개별적으로 검토해서 승인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당국자는 ‘위탁가공업자 24명이 제3국 접촉을 신청했는데 숫자가 너무 많아 10명 이내로 줄여달라 했다고 하는데 사실이냐’는 확인 요청에 대해 “24명이 많은 게 아니고 북측에 재산이 없는 사람들이 가겠다거나 만나겠다고 하는 등 해당이 안 되는 사람이 많다”며 “인원이 많고 적은 문제가 아니고 투자자산 보호에 맞게 해달라는 것”이라고 사실상 시인했다.
통일부는 경협업체 관계자들의 방북이나 제3국 접촉을 가급적 ‘로우-키’로 조용히 진행하길 바라고 있고, 이에 따라 개성공단과 금강산지구 경협업체의 방북부터 승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민간 소식통은 “5월 중순 북 민경련에서 178개 임가공업체들에게도 팩스를 보내와 설비 처리 관련 협의를 위한 회담을 위해 6월 15일까지 중국 단둥으로 들어오라고 했다”며 “통일부의 접촉 불허로 성사되지 못해 다시 6월말 접촉을 추진했지만 인원이 너무 많다고 10명 이내로 줄여달라고 했고, 현재는 7월 초 접촉을 위해 24개 업체가 접촉 승인을 대기중”이라고 전했다.
통일부는 태림산업의 방북 사실을 일주일이 지난 30일 <한겨레> 보도 이후에야 확인해주는가 하면 경협업체들의 제3국 접촉 추진에 대해서도 공개하지 않는 등 비밀주의로 일관해 5.24조치 완화에 대한 비판여론의 부담 때문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김치관 기자
ckkim@tongil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