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시점까지는 아직 이와 관련해서 구체적인 협의가 진행되지 않았고, 우리도 특별히 여기에 대한 입장을 아직 전달하지는 않았습니다.”

통일부 천해성 대변인은 7일 오전 정례브리핑을 통해 서해상 월선한 북한 주민 송환 문제에 대해 아직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고 있다고 확인했다.

천해성 대변인은 “오늘 시험통화는 예정대로 통상적으로 있었다”고 확인하면서도 “이 문제와 관련해서 우리측이 북한측에 대해서 협의를 아직 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오전 9시 10분경에 이루어진 판문점 남북 연락관 통화에서는 이 문제를 거론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천 대변인은 “정부는 인도주의차원에서 본인의 자유의사에 따른 결정은 존중되어야 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정부는 귀환을 희망하고 있는 북한주민 27명이 조속히 송환될 수 있도록 북한과 필요한 협의를 진행해나갈 예정”이라고 원칙적 입장만 재확인했다.

이같은 정부의 대응방식에 대해 한 당국자는 “북측의 입장에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27명을 송환을 제기해봐야 안 될 것”이라는 인식이 깔려 있다고 전했다.

천 대변인은 “우리 쪽에서 의사를 전달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제가 이 자리에서 특정한 방법으로 특정한 시간에 하겠다고 아직 말씀드릴 만한 정도의 상황이 아니”라며 “지난 주말 토요일, 일요일 사이에 제가 알기로는 다른 채널로 이 문제와 관련해서 접촉이 있었거나 협의가 있었던 것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현재는 북한측으로 송환을 희망하고 있는 이분들이 그쪽(판문점)에 가 있지는 않다”고 확인해 송환까지 시간이 걸릴 것임을 시사했다.

브리핑 뒤에도 ‘다른 채널로 물밑 접촉이 있는 것 아니냐’는 기자들의 질문이 쏟아졌지만 천 대변인은 “아는 바 없다”고만 답했다.

한편 유엔사 군사정전위는 지난 4일 북한 주민 4명의 잔류 의사를 포함한 ‘유엔사 특별조사 결과’를 북측에 통지했고, 북측 북미군사실무회담(조미군부대좌급회담) 단장은 6일 항의통지문을 보내 즉각 전원 송환을 촉구해 이 문제가 남북관계는 물론 북미관계에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