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으로는 중어뢰에 의한 버블제트의 효과가 제일 가깝지 않을까 생각을 하지만 그것 외에도 방법이 있는가를 지금 조사단에서 검토하고 있다."
김태영 국방장관은 25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종합청사에서 개최한 '천안함 관련 대국민담화' 계기에 '선체에 직접적인 파공을 남기지 않고 두 동강이 낼 수 있는 방법이 중어뢰에 의한 버블제트 외에 어떤 것들이 있을 수 있는가'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최고위 국방 당국자가 '중어뢰 피격에 의한 버블제트 효과설'을 공식 거론한 것이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암초설 등 '제3의 요인에 의한 외부충격설'에 확실하게 선을 그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배 밑바닥에 구멍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함수와 함미쪽) 두 조각이 난 것을 가까이 갖다 놓고 그것을 비교해 봤을 때, 정확하게 배의 밑바닥에 구멍이 난 것인지 아니면 어떤 외부 압력에 의해서 갈라진 것인지를 정확하게 볼 수가 있을 것"이라며 이날 오후 2시로 예정된 민.군합동조사단 발표를 기다려달라고 했다.
'최종발표는 언제 가능할까'는 의문에 대해서는 "바닥 밑에 아직 다 건져 올리지 못한 일부 잔해들이 꽤 있으리라고 판단한다"면서 "적어도 한 달 정도는 그런 작업이 계속 될 텐데, 그러한 작업을 통해서 모든 파편 등이 전부 수거가 된 다음에 정확하게 조사결과가 나올 수 있고, 그 조사 결과가 나와야만 조사활동을 중단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앞서 정운찬 총리는 대국민담화를 통해, "장례는 유가족들의 뜻에 따라, 오늘부터 29일까지 해군장으로 엄수하겠다"면서 "장례기간을 ‘국가애도기간’으로 선포하고, 영결식이 거행하는 4월 29일을 ‘국가애도의 날’로 지정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정부는 호국영령들을 전사에 준하여 명예롭게 예우하고, 1계급 추서와 화랑 무공훈장을 수여하여 고귀한 희생을 기리겠다"고 했다. "금양호 선원들의 희생 역시 결코 소홀히 하지 않겠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보상방안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정 총리는 "정부는 사고원인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철저히 밝혀내겠다. 그리고 조사결과에 따라서, 결연한 자세로 엄중한 조처를 취할 방침"이며 "이와 아울러 국가안보태세를 전반적으로 재점검하고, 우리 군에도 책임을 물어야 할 일이 있다면 엄정히 책임을 묻고, 보완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철저히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오후 2시 민.군합동조사단은 전날 함수 인양에 따른 육안 조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